정부가 낡은 산업단지를 첨단 산업과 인공지능(AI) 관련 업종이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자 관련 국비를 대폭 늘렸다.
국토교통부는 22일 '2025년 재생 및 활성화 구역 사업'에 참여할 자치단체 공모에 들어갔다. 대상은 착공 후 20년 이상 지난 곳이다. 노후 산단에 활력을 불어넣어 지속 가능성을 높이자는 취지에서 추진됐다.
산단은 1960년대부터 국내 산업 성장을 이끌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시설이 점차 낡아지는 데다 첨단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기반시설마저 부족해 미래 발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게다가 앞으로 노후 산단 비중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국토부 자료를 보면 전국의 노후 산단은 2020년 453곳(37%)에서 올해에는 520곳(38%)으로 증가했다. 또 2030년에는 757곳(50%), 2035년에는 995곳(60%)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토부는 사업 범위를 '재생'과 '활성화' 등 두 개로 나눠 진행한다. 우선 재생 분야에서는 기반시설 정비와 확충 등을 위해 국비 지원 한도를 종전 350억원에서 500억원까지 늘렸다.
또 첨단산업, AI 등 미래 산업에 대응한 노후 산단 정비계획을 수립하도록 업종 재배치, 토지이용계획 등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기로 했다.
민간 참여가 꼭 필요한 활성화 분야에서는 사업성을 높이고자 주거 기능 도입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사업 부지 확보 요건을 종전 66%에서 50%로 완화한다.
이에 따라 노후 산단 내 주택 공급 필요성이 확보되고 입지 적정성 평가를 통과하면 민간 기업은 근로자에게 특별·임대 주택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단 건축물 분양 수익 등은 관계 법령에 따라 공공기여를 받도록 해 민간에 과도한 특혜가 돌아가지 않도록 한다.
노후 산단 재생에 관심이 있는 자치단체는 다음 달 15일까지 제안서를 내면 된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는 내달 중 서면 및 종합 평가를 거쳐 최대 5곳을 대상지로 선정한다.
활성화 분야의 제안서 접수 기간은 11월 28일까지다. 종합 평가는 올 연말이나 내년 1월에 진행한다.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신규 산단뿐 아니라 노후 산단의 지속 가능성 확보가 중요하다"며 "앞으로 관련 제도를 계속 보완해 실효성을 더 높이겠다"고 했다.
한편, 대구에서는 2015년부터 서대구와 3공단 등을 현대화된 첨단 산업단지로 전환하는 재생사업을 진행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
윤여정 "동성애·이성애 모두 평등…한국은 너무 보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