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상위 2천대 기업 성장세를 비교한 결과 중국 기업들의 성장이 한국에 비해 6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글로벌 2천대 기업에 포함된 미국과 중국 기업이 크게 확대되는 동안 한국 기업들은 오히려 감소하는 모습이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미국 경제지 포보스 통계를 분석해 발표한 '글로벌 2천대 기업의 변화로 본 한·미·중 기업 삼국지'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2천대 기업에 속한 미국 기업은 2015년 575개에서 올해 612개로 6.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은 180개에서 275개로 52.7% 급증했다. 3개국 중에선 한국만 66개에서 62개로 6.1% 감소했다.
글로벌 2천대 기업 중 한국 기업 합산 매출액은 10년간 1조5천억달러에서 1조7천억달러로 15% 증가했다.
이에 비해 미국은 11조9천억달러에서 19조5천억달러로 63% 증가했고, 중국은 4조달러에서 7조8천억달러로 95% 증가했다. 특히 한국 기업과 비교한 성장 속도는 미국이 4.2배였고, 중국은 6.3배가 넘었다.
대한상의는 "중국의 기업생태계가 신흥 강자를 배출해서 힘을 키웠다면, 미국은 인공지능(AI) 등 첨단 IT를 활용한 빠른 탈바꿈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은 엔비디아(매출 성장률 2천787%), 유나이티드헬스(314%), 마이크로소프트(281%), CVS헬스(267%) 등 첨단산업·헬스케어 기업이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스톤X(금융상품 중개, 매출액 1천83억달러), 테슬라(전기차, 957억달러), 우버(차량공유, 439억달러) 등 새로운 분야 기업들이 신규 진입했다.
중국의 경우 알리바바(이커머스, 1천188%), BYD(전기차, 1천098%), 텐센트홀딩스(온라인미디어·게임, 671%), BOE테크놀로지(디스플레이, 393%) 등 첨단기술·IT 분야 기업들이 성장을 이끌었다.
한국은 새로 글로벌 2천대 기업에 포함된 곳은 주로 금융기업들(삼성증권, 카카오뱅크, 키움증권, iM금융그룹, 미래에셋금융그룹 등)이었다.
결국 경제성장을 위한 기업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기업이 성장할수록 지원은 줄고 규제는 늘어나는 역진적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한 해에 중소기업에서 중견으로 올라가는 비중이 0.04%, 중견에서 대기업이 되는 비중이 1~2% 정도"라며 "미국이나 중국처럼 다양한 업종에서 무서운 신인 기업들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사퇴 압박받는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