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억대 연봉에도 총파업 선언한 금융노조…"주 4.5일제·임금 인상" 등 요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금융노조가 주 4.5일제 도입과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오는 26일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금융노조 홈페이지 갈무리
금융노조가 주 4.5일제 도입과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오는 26일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금융노조 홈페이지 갈무리

은행원 등이 소속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주 4.5일제 도입과 임금 인상,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며 26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은행권 총파업은 2022년 9월 이후 약 3년만이다. 하지만 내부통제 부실 책임과 금융보안 우려,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이 넘는 상황에서 파업은 명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형선 노조위원장은 24일 총파업 선언문에서 "어제(23일) 교섭 결과"라며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끝내 구체적인 임금 인상안을 내놓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주 4.5일제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논의조차 거부했다"며 "9·26 총파업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4.5일제 외에도 ▷임금 5% 인상 ▷신규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4.5일제 근무제 도입에 반대하고, 금융노조가 제시한 임금 인상안의 절반 수준인 2.4% 인상률을 제시했다.

이에 노조는 이달 1일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 투표(찬성률 94.98%)를 실시한 뒤 이날 총파업을 선언했다.

평균 연봉 1억 원가량인 시중은행과 산업은행의 노조가 속한 금융노조의 파업을 바라보는 시각은 곱지 않다. 올해 상반기(1~6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 직원의 평균 급여액은 6천350만 원으로, 삼성전자(6천만 원), 현대차(4천500만 원) 등 국내 주요 기업보다 많았다.

올해 들어 5대 시중은행의 금융사고(10억원 이상)도 16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건수인 15건을 넘어선 것으로 합산 피해액은 1천억원에 달한다. 해외 법인에서도 금융사고가 잇따르면서 전반적인 내부통제 부실이 드러난 상태다.

더불어민주당도 금융노조의 총파업에 회의적인 모습이다.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성명에서 "금융산업 노사가 파업이라는 극단적 대결보다는 상호 양보와 타협을 통해 주 4.5일제 도입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며 "정부도 이를 국정과제로 추진 중이지만 사회적 공감대가 선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