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과 전남 등 영·호남권 발전소에서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는 중앙 집중형 전력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한전)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계 기준 지역별 전력자급률은 최고 262.6%(경북)에서 최저 3.3%(대전)까지 79배 격차를 보였다.
전력자급률은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의 수급 흐름을 파악하는 지표다. 해당 지역의 발전량을 전력 판매량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서 계산한다. 이 비율이 기준치(100%)를 초과하면 다른 지역에 공급한 전력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올해 1~7월 전력자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월성원전 등이 있는 경북이었다. 발전량과 전력 판매량이 각각 6만5천243GWh(기가와트시)와 2만4천844GWh로 262.6%의 전력자급률을 기록했다. 이어 전남(203.2%) 인천(180.6%) 충남(180.5%) 강원(163.4%) 등 순이었다. 반면 대전은 3.3%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서울도 7.5%에 머물며 16위를 기록했다.
박 의원은 "특히 서울의 전력 의존도가 심하다"며 "올해 서울 자급률은 지난해 11.6%에서 4.1%포인트(p) 내려간 수치"라고 지적했다. 영·호남권 대형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이 지난해보다 더 많아졌다는 의미다.
박 의원은 "전력자급률 불균형은 단순히 수급의 문제가 아니라 중앙 집중형 전력 구조가 가진 한계에 기인한다"며 "전력 불균형 해소와 탄소중립 달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분산형 전원의 고도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분산형 전원은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해당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 개념이다. 현재 정부는 중앙 집중형 전력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추진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정청래 "대통령도 갈아치우는 마당에 대법원장이 뭐라고?"
김민석 총리 "비자 문제 해결될 때까지 미국 투자 없다"
[단독] 中 때문에 결혼식 취소 신라호텔... 美 머물 하얏트는?
[단독] '尹나체 해부 묘사' 작품 건 봉산문화회관…구청장 지시에 전시회 직전 전시장 폐쇄
李 대통령, 체코와 정상회담…두코바니 원전 웨스팅하우스 논란 '무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