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 고령자, 양육가구 등 특정 수요자에 맞춘 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특화주택 공모를 실시한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공모 기간은 29일부터 11월 28일까지 2개월간이다. 지방자치단체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방공사 등 공공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제안서 검토와 현장조사, 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중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특화주택은 거주공간과 함께 사회복지시설, 돌봄공간, 공유오피스 등 다양한 지원시설을 제공하고, 멘토링과 심리상담 등 서비스도 공공주택사업자가 지자체와 협력해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공모에 선정된 사업은 국가가 지원하는 주택도시기금 출·융자를 통해 건설비의 80%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특히 내년 예산안에는 청년특화주택 내 특화시설(3개소 4억8천만원)과 육아친화 플랫폼인 지역제안형 특화주택(10개소 76억원)에 대한 건설비가 신규로 포함돼 앞으로 특화주택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 공모는 네 가지 유형으로 진행된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2024년 하반기 공모부터 도입된 유형으로, 지자체 등 사업시행자가 출산이나 귀농·귀촌 장려 등을 위해 지역 수요에 따라 입주자격과 선정방법, 거주기간 등을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미닫이 욕실문과 안전손잡이 등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이 적용된 임대주택과 사회복지시설을 함께 설치해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한다.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며, 경로식당과 건강상담실, 교양강좌실 등을 갖춘다.
청년특화주택은 도심 내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해 역세권 등 우수입지에 청년 선호 평형과 붙박이 가구 등을 반영한 주거공간을 제공한다. 결혼하지 않은 청년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피트니스룸과 세탁실 등 특화시설을 포함한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주거비 경감을 위해 공유오피스와 창업센터 등 특화시설을 함께 제공한다. 창업가와 중소기업 근로자, 산업단지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한다.
국토부는 23일 충청·영남·호남권과 25일 수도권·강원권에서 LH와 공동으로 권역별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기봉 국토부 주거복지정책관은 "특화주택을 통해 각 지역이 해당 지역의 수요와 실정에 맞는 주택을 공급할 수 있고, 추가적인 재정지원을 통해 건설비용 부담 완화가 가능한 만큼 자치단체 등 공공주택사업자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협조를 당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美에 28조 통화 스와프 얻은 아르헨…한국은 뭐하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실 "이 상황에 무슨 말하겠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 셀프 왕따 인증…뭣이 중헌지 정말 몰라"
李 대통령 지지율 지난주보다 5%p↓… '잘하고 있다' 55%
78년만에 검찰청 사라진다…정부조직법 與주도 본회의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