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 쌀 생산 평년보다 양호…햅쌀 출하로 가격 안정 기대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평년 대비 생산단수 높고 도정수율도 향상
10월 2일 통계청 발표 후 수확기 대책 마련

23일 오전 경북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 프리미엄 쌀 재배단지에서 기계를 이용한 본격적인 추수에 앞서 김재욱 칠곡군수가 낫으로 직접 벼 베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전 경북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 프리미엄 쌀 재배단지에서 기계를 이용한 본격적인 추수에 앞서 김재욱 칠곡군수가 낫으로 직접 벼 베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쌀 작황이 평년보다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햅쌀이 본격 판매되면 쌀값 안정이 기대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현장 의견수렴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등과의 업무협의를 통해 올해 쌀 생산단수가 평년 대비 높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부는 그간 정부양곡 대여 5만5천톤(t)을 추진하면서 생산자단체와 전국 산지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올해 쌀 작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평년보다 작황이 좋고 지난해보다 도정수율도 높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는 설명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3일 청주시 농업관측세종사무소에서 농경연은 통계청, 농진청 등 관계기관과 전국 산지유통업체 대표 및 소비지 유통업계와 함께 올해 수확기 수급 전망과 산지 동향을 논의했다. 농경연은 현재까지 일조시간 증가와 일교차 확대 등으로 기상 여건이 좋아 벼 생육이 양호한 편이라며 평년(10아르당 518㎏) 대비 올해 생산 단수가 높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2024년산 정부양곡 대여곡 약 5만5천 톤 수준의 반납 물량을 감안하더라도 올해 쌀 생산량은 수요량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내달 2일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을 바탕으로 수확기 쌀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는 13일(잠정) 정부와 생산자, 산지유통업계, 소비지업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개최해 '2025년 쌀 수확기 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올해 작황에 대한 현장 의견을 들어보면 쌀 소비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다소 과잉이 전망된다"며 "수확기 쌀 수급안정을 위해 올해 작황과 쌀값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확기 쌀값 안정을 위해 차질 없이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