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작황이 평년보다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햅쌀이 본격 판매되면 쌀값 안정이 기대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현장 의견수렴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등과의 업무협의를 통해 올해 쌀 생산단수가 평년 대비 높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부는 그간 정부양곡 대여 5만5천톤(t)을 추진하면서 생산자단체와 전국 산지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올해 쌀 작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평년보다 작황이 좋고 지난해보다 도정수율도 높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는 설명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3일 청주시 농업관측세종사무소에서 농경연은 통계청, 농진청 등 관계기관과 전국 산지유통업체 대표 및 소비지 유통업계와 함께 올해 수확기 수급 전망과 산지 동향을 논의했다. 농경연은 현재까지 일조시간 증가와 일교차 확대 등으로 기상 여건이 좋아 벼 생육이 양호한 편이라며 평년(10아르당 518㎏) 대비 올해 생산 단수가 높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2024년산 정부양곡 대여곡 약 5만5천 톤 수준의 반납 물량을 감안하더라도 올해 쌀 생산량은 수요량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내달 2일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을 바탕으로 수확기 쌀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는 13일(잠정) 정부와 생산자, 산지유통업계, 소비지업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개최해 '2025년 쌀 수확기 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올해 작황에 대한 현장 의견을 들어보면 쌀 소비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다소 과잉이 전망된다"며 "수확기 쌀 수급안정을 위해 올해 작황과 쌀값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확기 쌀값 안정을 위해 차질 없이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美에 28조 통화 스와프 얻은 아르헨…한국은 뭐하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실 "이 상황에 무슨 말하겠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 셀프 왕따 인증…뭣이 중헌지 정말 몰라"
李 대통령 지지율 지난주보다 5%p↓… '잘하고 있다' 55%
78년만에 검찰청 사라진다…정부조직법 與주도 본회의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