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싸구려 이미지 벗자" 中, 내년부터 전기차 수출 '허가제'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브랜드 이미지 보호·과당 경쟁 차단 목적

비야디 차량을 실은 선박이 중국 선전에서 네덜란드와 독일을 향해 출항할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야디 차량을 실은 선박이 중국 선전에서 네덜란드와 독일을 향해 출항할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내년 1월 1일부터 순수 전기 승용차 수출에 '허가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전기차 업체 간 과도한 가격 경쟁을 억제하고 '저가 중국산'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시키려는 조치다. 동시에 무분별한 수출과 사후 서비스 부실로 인한 해외 시장 내 평판 훼손을 막겠다는 의도도 담겼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26일 공업정보화부·해관총서·시장감독총국과 함께 전기차 수출 허가증 관리 제도를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자동차 제조사 또는 제조사의 승인을 받은 공식 법인만 수출 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기존 가솔린 차량과 하이브리드 차량은 이미 허가제를 적용받고 있다.

중국 전기차 수출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기차(하이브리드 포함) 수출은 131만대로 지난해 전체 수출 물량인 약 129만대를 이미 넘어섰다. 하지만 급격한 성장 뒤에는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비야디(BYD), 니오(NIO) 등 주요 업체들이 대규모 가격 인하 경쟁에 나서면서 일부 모델 가격은 최대 34%까지 낮아졌다. 그 결과 일부 기업은 파산 위기에 몰렸고, 유럽연합(EU)과 미국 등 주요 시장과의 무역 갈등 요인으로도 작용했다.

업계에서는 수출 허가제가 시행되면 생산부터 선적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 단기적으로 물량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개별 업체를 강하게 압박하기보다는 시장 질서를 바로잡는 데 방점을 두고 있어 전반적인 수출 감소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번 조치의 영향은 해외 업체에도 미칠 전망이다. 현재 중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해 수출하는 테슬라, BMW,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도 허가제를 적용 받게 되기 때문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