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환경과 에너지 정책을 총괄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기후부)가 1일 공식 출범했다. 기후부는 기존 환경부가 산업통상부로부터 에너지 기능을 이관받아 확대·개편된 '공룡부처'다.
기후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공식 출범식을 열고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정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날 국무회의에서 '기후환경에너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정령이 의결되면서다.
초대 수장이 된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그동안 기후정책 총괄 기능은 환경부에 있었고 감축 수단은 산업부에 있다 보니 실질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제는 기획과 실행을 하나의 부처에서 하게 된 만큼 전력·산업·수송·건물·생활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체계를 대전환하겠다"며 "현재 누적 기준 34GW 수준의 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가능한 100GW 수준으로 대폭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늘어난 재생에너지는 햇빛 연금, 바람 연금, 마을 연금 형식으로 국민에게 소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를 위해 화석에너지 중심의 전력망도 재생에너지 중심 지능형 전력망으로 대전환하겠다. 이른바 '에너지 고속도로'를 확실하게 건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장관은 "극단화되는 이상기후에 대비해 홍수·가뭄 인프라를 전면 재정비하겠다"며 "수해 사고와 침수가 빈번한 지류·지천과 도심, 극한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지역 등 취약지역은 사후 대응이 아닌 정밀한 기후예측에 기반한 선제적 대응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예고했다.
기후부는 '2차관, 4실, 4국·14관, 63과"로 구성된다. 기존 환경부(1차관, 3실, 3국·9관, 47과·5팀)보다 규모가 대폭 확대되는 것이다. 인원 규모도 본부를 기준으로 829명으로 늘어난다. 소속기관은 기존 20개에 전기위원회가 새롭게 합류한다.
1차관 소속으로는 기획조정실, 물관리정책실이 편제된다. 부처 운영을 비롯해 하천 자연성과 생태계 회복, 미세먼지 저감, 순환경제 구축, 화학물질 안전 등 환경 정책을 담당하게 된다.
2차관 소속으로는 기후에너지정책실과 에너지전환정책실이 배치됐다. 기후정책과 에너지정책의 융합을 통한 동반상승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목표다. 또 에너지 전환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 업무를 맡아 정책 이행 속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조희대 청문회' 48.9% "부적절"…장동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18.3%로 1위
李대통령 "군 장병 처우 개선…국방예산 66.3조원 편성"
김혜경 여사, 이석증으로 어지럼증 호소…한일정상회담 동행 않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