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대화의 신호가 또 잡히고 있다. 이달 마지막날 열릴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4번째 만남이 성사될 지 또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
미국 백악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는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거론한대로) 핵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도 북한과 대화하는 데 열려 있느냐'는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어떤 전제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정은과 한반도를 안정화시키는 3차례의 역사적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소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018년 6월 싱가포르,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 2019년 6월 판문점 등에서 3차례 만난 바 있다.
그는 또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기존 미국 정부의 원칙과 목표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명시적으로 거론하지 않은 것은 대화 분위기 조성 측면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입장은 김정은 위원장이 언급한 '비핵화 포기 전제 북미정상대화 의향'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 나름의 고민을 거쳐 내 놓은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비핵화 포기'를 조건으로 제시한 북한의 대화 제안에 대해 '비핵화 견지'를 간접 시사하는 동시에 '전제조건없는 대화'라는 '역제안'을 한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어 보인다. 이에 따라 경주 APEC 정상회의에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계기로 김 위원장과 만남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 외교 문법에 얽매이지 않는 동시에 김 위원장에 대한 친분을 과시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고려하면 그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외 한반도 및 북한 문제 전문가들은 그간 APEC 정상회의 계기에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조희대 청문회' 48.9% "부적절"…장동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18.3%로 1위
李대통령 "군 장병 처우 개선…국방예산 66.3조원 편성"
김혜경 여사, 이석증으로 어지럼증 호소…한일정상회담 동행 않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