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2%대로 높아졌다. 가공식품과 축산물·수산물 등 추석 성수품 물가가 5~6%대의 높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다.
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 지수가 117.06(2020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 올랐다. 대구는 1.9%, 경북은 2.2%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로써 대구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1%대를 이어간 반면 경북은 한 달 만에 2%대로 올라섰다.
전국적으로 보면 월간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 1.9%에서 6월(2.2%)과 7월(2.1%) 2%대로 올라선 뒤 8월 1%대로 내려갔다가 지난달 다시 2%대로 상승했다. 8월에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요금 일시 인하로 상승률이 낮아졌으나, 이 효과가 소멸되면서 다시 2%대를 기록한 것이다.
먹거리 물가가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4.2% 올랐다. 올해 들어 주요 식품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잇따라 올린 데다 고환율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공식품 중에는 빵(6.5%)과 커피(15.6%)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축산물과 수산물 물가는 각각 5.4%와 6.4% 급등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 3.1%에서 지난달 3.4%로 더 높아졌다. 외식이 포함된 개인서비스 물가도 2.9% 오르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해 2.5% 상승했다. 지난 8월 상승률(1.5%)보다 높아진 것이다. 반면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9월보다 2.5% 하락했다. 농산물 물가의 전반적인 하락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중에서는 찹쌀(46.1%) 쌀(15.9%) 고등어(10.7%) 달걀(9.2%) 돼지고기(6.3%) 사과(5.5%) 국산쇠고기(4.8%) 등의 물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서비스 항목 중에서는 보험서비스료(16.3%) 생선회(외식·6.0%) 커피(외식·5.1%) 공동주택관리비(3.5%) 등이 크게 올랐다.
지난달 석유류 물가는 2.3% 상승했다. 지난 8월 1.2% 하락했는데 지난달에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조희대 청문회' 48.9% "부적절"…장동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18.3%로 1위
민주당·정부 "배임죄 폐지 기본방향으로 정해"
김혜경 여사, 이석증으로 어지럼증 호소…한일정상회담 동행 않기로
李대통령 "군 장병 처우 개선…국방예산 66.3조원 편성"
검찰청 폐지 여파…김건희특검 파견검사 40명 전원 '복귀'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