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분산돼 있던 중앙·지방·교육 재정 정보를 하나로 묶어 국민 누구나 쉽게 확인·비교·분석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모두의 재정'을 내년 11월 공개한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접목해 맞춤형 질의응답과 데이터 시각화 기능을 제공, 국민 참여 확대와 재정 투명성 제고를 동시에 노린다.
기획재정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재정정보 공개 플랫폼 구축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재부에 따르면 현재 재정정보는 '열린재정'(기재부), '지방재정365'(행정안전부), '지방교육재정알리미'(교육부) 등 개별 시스템에 흩어져 있어 이용자 불편이 컸다. 심지어 공개 자료도 요약 수준에 그쳐 국민이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로 인해 참여예산 제도의 활용도가 낮고, AI 기반 분석 역시 데이터 부족으로 한계에 부딪혔다.
새 플랫폼은 세 가지 방향에서 추진된다. 먼저 중앙·지방·교육재정을 비롯해 보조금24·중소벤처24 등 관련 시스템을 연계해 '원스톱 재정서비스'를 구현한다. 여기에 국민 친화적 플랫폼을 지향해 참여예산 홈페이지를 '국민주권예산'으로 개편하고 제안 유형을 신규사업·지출 효율화·자유제안 등 세 가지로 표준화한다. 우수 제안에는 포상을 신설해 참여 유인을 높인다. 아울러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자가 직업·연령 등을 입력하면 관련 재정정보를 맞춤 제공받고, 방대한 보고서는 요약본과 웹툰·영상·카드뉴스 등 시각화 콘텐츠로 변환된다.
재정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홍보도 강화된다. 재정용어사전은 기존 2천800여 건에서 3천300여 건으로 확대·개편되며, '온라인 재정박물관'이 신설돼 재정사와 통계 콘텐츠를 제공한다. 2~7분 분량의 마이크로러닝 영상, 유튜브 숏폼, KTX·터미널 광고 등 대중 친화적 홍보도 병행된다.
정부는 내달부터 기재부 주도로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세부 설계를 진행하고, 12월에는 챗봇 시범운영, 용어사전 개편,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을 추진할 예정이다. 내년 11월 본격 오픈을 목표로 부처 간 협의와 시스템 연계를 본격화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민이 복잡한 재정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직접 참여해 정책 과정에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플랫폼을 설계했다"며 "AI 기반 분석과 시각화 기능을 통해 재정 투명성을 높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열린 재정을 구현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조희대 청문회' 48.9% "부적절"…장동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18.3%로 1위
李대통령 "군 장병 처우 개선…국방예산 66.3조원 편성"
민주당·정부 "배임죄 폐지 기본방향으로 정해"
김혜경 여사, 이석증으로 어지럼증 호소…한일정상회담 동행 않기로
[단독] 김현지, 상명대 경제학과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