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와 조류가 충돌해 발생하는 '버드 스트라이크'가 5년 동안 2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항공 안전뿐 아니라 생태적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단순한 항공 안전 대책을 넘어 조류 서식 환경에 대한 종합적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비례·사진)이 최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15개 공항에서 발생한 버드스트라이크는 2020년 154건에서 2024년 290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거점공항에서 발생한 사고 사례가 다수 확인되면서 경각심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290건 가운데 인천공항에서만 102건, 김포공항에서 43건이 발생해 두 공항에서 발생한 사고 비율이 50%에 달했다.
특히 인천공항에서의 버드 스트라이크 사고는 2020년 25건에서 지난해 102건으로 약 4배 급증해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
충돌한 조류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공항 측은 국립생물자원관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하고 있다. 분석 결과,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인천공항에서 발생한 사례 중 기러기류가 18 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제비 9건, 황조롱이 7건, 멧비둘기 4건, 가창오리 3건 등이 뒤를 이었다 .
이 과정에서 청주공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수리부엉이, 대구와 청주에서는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와 소쩍새가 여객기와 충돌한 사실도 드러났다.
김위상 의원은 공항 주변의 쓰레기 매립지 등 인위적 환경이 조류의 서식지로 기능하는 점, 기후 변화로 철새 이동 패턴이 불규칙해진 점 역시 문제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김 의원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기상청은 철새 이동, 조류 밀집 예측을 위한 생태·기상 모니터링 체계를 조속히 구축·제공할 필요가 있다" 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면직 다음날 체포된 이진숙…수갑 들며 "李가 시켰나"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법원에 체포적부심 청구…'내일 오후 3시' 진행
'추석민심' 李 긍정평가 59%, 부정평가 33%…'취임 100일'과 비교해보니
이진숙, 체포 50시간 만에 석방
포스코이앤씨, "부장님 대신 '프로'로 불러주세요"…차장~부장 직급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