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년간 먹거리 물가 20% 올랐다…국가데이터처, 과일·빵 상승률 40% 가까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5년간 먹거리 물가가 20% 넘게 뛰며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8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빵을 고르고 있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5년간 먹거리 물가가 20% 넘게 뛰며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8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빵을 고르고 있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에 비해 22.9% 상승했다. 과일과 우유·치즈 및 계란(30.7%) 등은 5년 전에 비해 30% 넘게 치솟았고 빵(38.5%), 케이크(31.7%), 떡(25.8%), 라면(25.3%) 등도 크게 올랐다. 연합뉴스

최근 5년 동안 빵 가격이 40% 가까이 치솟는 등 먹거리 물가가 20% 상승했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 9월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 대비 22.9% 치솟았다. 이 기간 전체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16.2%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상승폭이다.

특히 과일(35.2%)과 우유·치즈 및 계란(30.7%) 등은 5년간 30% 넘게 올랐다.

이밖에 빵이 38.5%, 케이크 31.7%, 떡 25.8% 상승했다. 국민 간식으로 불리는 라면마저 25.3% 상승했다.

아울러 ▷기타 식료품(21.4%) ▷육류(21.1%) ▷어류 및 수산(20.0%) 등도 20% 이상 상승했다.

비주류 음료 중에는 커피·차 및 코코아(38.2%),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 및 채소주스(22.7%)도 상승폭이 상당했다. 주류는 13.1% 상승했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4.4% ▷2021년 5.9% ▷2022년 5.9% ▷2023년 5.5% ▷2024년 3.9%로 꾸준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020년 0.5%,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 2024년 2.3% 수준으로 나타났다.

생활 밀접 품목에 대한 물가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음식 및 숙박' 24.8% 상승했다. 비누·샴푸·미용료 등을 포함한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24.1% 올랐다.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물가는 16.7%, '의류 및 신발'은 16.2% 기록해 평균 상승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반해 연료비, 차량 유지비, 대중교통 요금 등 '교통' 물가의 경우에는 15.9%로 평균을 하회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부가 돈을 풀고 있지만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한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민생소비쿠폰이 식음료 집중적으로 소비되도록 만들어진 구조를 야기했다"며 "이러한 잘못된 정책이 물가를 끌어 올렸다. 코로나19 시기에 이어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도 물가안정을 민생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농축수산물 수급조절, 할인지원, 할당관세 등 단기 대책과 함께, 식품업계 경쟁촉진, 농축수산물 유통구조 효율화, 농업 생산성 향상 등 구조적 물가안정 대책을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