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이 미국에 올 당시 "트럼프 행정부의 H-1B 비자 정책이었다면 가족이 미국에 오지 못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 CEO는 8일(현지시간)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의 간판 프로그램 '스쿼크박스'(Squawk Box)와 인터뷰에서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당시에 적용됐다면 우리 가족의 미국 이민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외국의 전문 기술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H-1B 비자 신청 시 고용주가 비자당 10만 달러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보다 100배 인상된 수준이다.
대만에서 태어난 황 CEO는 태국으로 이주한 후 9살 때 형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왔고, 부모님은 약 2년 뒤 합류했다. 이에 대해 그는 "우리 가족은 10만 달러를 감당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그래서 가족과 내가 여기 올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사라졌을 것"이라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이민은 '아메리칸 드림'의 토대"라며 "이는 누구든 노력과 재능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이상(ideal)을 의미한다"며 "우리 가족은 더 많은 기회와 이 놀라운 나라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 미국에 왔다"고 강조했다.
현재 엔비디아는 1천400건의 비자를 지원하고 있다. 황 CEO는 "앞으로도 직원들의 H-1B 비자 비용을 계속 부담하겠다"면서 "뜻밖의 행운(serendipity)이 일어날 기회가 여전히 존재하도록 정책에 일부 '개선'이 있기를 희망한다"고 기대했다.
이어 트럼프의 새 이민 정책이 자신과 같은 가족의 이민을 막을 수는 있지만 "그럼에도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고의 인재를 끌어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최근 AMD가 오픈AI와 수십억 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자사 지분의 10%를 오픈AI에 제공하기로 한 것 대해서는 "놀랐다"고 밝혔다. 또 "(지분 제공은) 상상력이 돋보이고, 독특하며, 놀랍다"며 "AMD가 다음 세대 제품에 그렇게 기대하고 있던 상황을 고려하면 특히 그렇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
金총리, 李냉부해 출연에 "대통령 1인다역 필연적…시비 안타까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