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경제가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수출 호황을 타고 급성장하고 있다.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올해 대만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대 중반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한국은 1%대 초반의 저성장을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어서 양국 간 격차가 뚜렷해지고 있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해외 IB 8곳이 제시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 평균은 5.3%로 나타났다. 이는 8월 말 전망치(4.5%)보다 0.8%포인트(p) 상승한 수치로, 대만 통계청(DGBAS)이 제시한 공식 전망(4.45%)을 크게 웃돈다.
노무라와 JP모건 등 5곳이 최근 한 달 사이 잇따라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했다. 노무라는 8월 4.6%에서 9월 6.2%로 무려 1.6%p 끌어올렸고, JP모건도 5.8%에서 6.1%로 수정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는 3.5%→5.2%, 씨티는 3.5%→4.4%, HSBC는 3.3%→5.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바클리·골드만삭스·UBS는 기존 전망을 유지했지만 모두 5%로 집계됐다.
IB들이 잇따라 눈높이를 높인 배경에는 반도체 수출 급증이 있다. 세계 AI 열풍이 몰아치며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급증했고, 대만의 대표 파운드리 기업 TSMC가 수혜의 중심에 섰다. 대만은 올 들어 대미 반도체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8월 기준 월간 수출액이 처음으로 한국을 앞질렀다.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8%대에 달하며, 팬데믹 이후 최고 수준의 호황을 누렸다.
내년 성장률 전망도 상향됐다. IB들은 8월 말 2.1%에서 9월 말 2.3%로 평균 0.2%p 높였다. 고성장이 지속될 것이란 신호다.
대만의 1인당 GDP는 올해 3만8천66달러로 전망돼 한국(3만7천430달러)을 22년 만에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 머물 경우 격차는 더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대만은 글로벌 AI 투자 사이클의 중심에 선 TSMC를 중심으로 공급망 핵심국으로 부상했다"며 "수출 증가율이 4월 미국 관세 충격 이후에도 30%를 웃돌며 성장세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과의 상호 관세율은 20%로 우리나라(15%)보다 높지만, 테크 수출이 60%를 차지해 실효 관세율은 7~9%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민주당, 1만명 넘는 학원연합 집단당원가입 받았다
주진우 "학부모 유괴 불안 떨 동안 이재명 정부 뭐했나"
김은혜 "중국인 부동산·의료·선거 '3대쇼핑' 방지법 당론추진"
새벽 5시, 인력시장 찾은 김민석 총리…"일자리 많이 늘릴 것"
숨진 양평 공무원 메모 공개되자, 특검 "실제 유서 아냐…강압조사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