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 전까지 이들의 공백을 메워왔던 이른바 PA(진료지원) 간호사들이 전공의 복귀 후 부서 이동 또는 업무 조정 가능성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과 대한간호협회는 지난달 22∼28일 전담 간호사 1천85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해 12일 결과를 발표했다.
PA 간호사는 의사의 진료·처치·수술 등을 보조하는 간호인력으로, 그동안 법적 근거 없이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서 일해왔다. 그러다 지난해 2월 전공의 사직 이후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시범사업을 통해 제도권 안에 들어왔고 올해 간호법 시행과 함께 본격적으로 의사 업무 일부를 맡게 됐다.
간호협회는 PA 간호사 대신 '전담 간호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협회에 따르면 전공의 사직 이후 진료지원 업무를 맡는 간호사들이 늘어나며 지난해 3월 1만1천388명이던 전담 간호사의 수는 현재 1만8천659명으로 급증했다.
이번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8.3%(741명)가 진료지원 업무 수행 경험이 있었다. 자발적으로 지원한 사례가 다수(56.7%)지만 전공의 사직 후 비자발적으로 배치됐다는 응답도 29.6%였다.
진료지원 업무 경험이 있는 741명은 지난달 전공의 복귀로 인해 '향후 부서 이동이나 업무 조정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을 '매우 많이'(28.1%) 또는 '다소'(25.9%) 느낀다고 답했다.
이미 원치 않는 '부서 이동'(7%)이나 '업무 범위 조정'(34.1%)을 경험한 경우도 41.1%였는데, 이들 중 74.8%는 사전 협의나 본인 동의 절차가 없었다고 답했다. 또 30.2%는 업무 조정 등으로 인해 업무 적응 스트레스가 늘었고, 사직·이직까지 고려했다는 응답도 17.7%였다.
또 업무 조정을 경험한 이들 260명 중 절반 이상(147명·56.5%)은 전공의가 기피하는 업무를 맡는 등 '전공의 편의에 따라' 업무가 조정됐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59.8%는 향후에도 진료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싶다고 했다.
이수진 의원은 "복지부가 전담 간호사의 근무 안정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며 "의료공백 속에서 간호사의 헌신이 없었다면 혼란은 더 컸을 것이다. 환자를 지켜준 간호사를 국가가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민주당, 1만명 넘는 학원연합 집단당원가입 받았다
주진우 "학부모 유괴 불안 떨 동안 이재명 정부 뭐했나"
김은혜 "중국인 부동산·의료·선거 '3대쇼핑' 방지법 당론추진"
새벽 5시, 인력시장 찾은 김민석 총리…"일자리 많이 늘릴 것"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