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열차 지연 사례가 급증하면서 국가 위상이 실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코레일에 내린 작업중지 명령 해제 시점이 기약 없이 길어지고 있어서다.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권영진 국민의힘 의원(대구 달서구병)이 코레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19일 경부선 무궁화호 사고 전·후 한 달간 5분 이상 지연 기준 경부선 KTX 정시율은 77.5%에서 62.5%로 15.0%포인트(p) 하락했다. 이 기간 지연 관련 민원은 일평균 27건 접수됐고, 막대한 금액의 지연배상금도 발생했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경북 청도에서 발생한 열차 사고 이후 300㎞가 넘는 코레일 대구본부 전 구간에 대한 작업을 중지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이에 작업중지 구간인 신암~청도 구간(121.1km)을 경유하는 경부선 열차는 기존 시속 140㎞에서 시속 60㎞로 낮춰 서행 운행돼 열차 연쇄 지연을 일으키고 있다.
문제는 이달 말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차 지연 문제가 계속될 경우 경주뿐 아니라 대구경북(TK)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교통 혼잡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외국인 대다수가 TK 방문 시 수도권과 2시간 내로 이동할 수 있는 철도 이용을 선호하고 있어서다.
APEC 기간에도 열차 지연 문제가 이어진다면 촌각을 다투는 외국 귀빈 수송 시에도 열차가 역에 늦게 도착할 가능성이 높다. 주요 역사 내 전광판에 열차 지연이 다수 표기되는 민망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외국 귀빈이 서울역을 이용할 때 다수의 열차가 지연으로 표시된다면 국가적 위상이 떨어질 것"이라며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는 APEC 정상회의 개최 전에 열차운행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작업중지 명령을 내린 고용노동부와 협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권 의원은 "APEC 기간 동안 2만여 명의 관광객들이 경주를 찾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서울에서 그들을 경주로 이동시킬 열차가 지연된다면 처음부터 행사 이미지를 구기는 것"이라며 "정부는 과도한 작업중지 명령이 합리적 범위 안에서 신속히 조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민주당, 1만명 넘는 학원연합 집단당원가입 받았다
주진우 "학부모 유괴 불안 떨 동안 이재명 정부 뭐했나"
김은혜 "중국인 부동산·의료·선거 '3대쇼핑' 방지법 당론추진"
새벽 5시, 인력시장 찾은 김민석 총리…"일자리 많이 늘릴 것"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