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가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정책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북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경상북도 생활인구 정책연구회(대표 권광택 도의원)'는 최근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경상북도 생활인구 증대를 위한 정책·시책·사업 사례 탐색 및 발굴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경상북도 생활인구 정책연구회'는 권광택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홍구·정한석·차주식·허복·황재철 도의원 등 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활인구 증대와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 보고회는 지난 7월 ㈜지역공공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추진 중인 연구용역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중간 결과를 공유하며 향후 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발표를 맡은 이미나 연구원은 ▷국내·외 생활인구 정책 사례 조사 및 현황 분석 ▷경북 및 시·군별 생활인구 정책 현황 파악 ▷지방소멸 대응 정책 방안 등을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보고했다.
권 대표의원은 "도시와 농촌 간 생활인구 격차, 주민 이동 패턴 변화, 인구 유출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며 "경북의 인구감소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 대안을 제시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비슷한 시기 도의회 의원연구단체 '지속가능한 경북 지역발전모델 연구회(대표 노성환 도의원)'도 도의회 회의실에서 '경북형 압축도시 모델 등 개발 및 전략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지속가능한 경북 지역발전모델 연구회'는 노 도의원을 비롯해 박창욱·백순창·서석영·신효광·윤철남·이철식·이충원·정근수·최덕규 도의원 등 10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결과를 오는 11월까지 마무리해 정책 대안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권대한 연구원은 보고회에서 ▷압축도시의 국내·외 사례 및 동향 ▷경북 농촌지역의 현황 분석 ▷압축도시 도입 시 변화 전망 등을 제시하며, 지역 특성과 도민 요구를 반영한 '경북형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북도의회 관계자는 "생활인구 연구와 압축도시 연구는 서로 맞물린 핵심 과제"라며 "이번 연구용역들이 경북의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지역균형 발전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밑그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