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성전자, 3분기 SK하이닉스 제치고 메모리 시장 '1위' 탈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삼성전자 3분기 메모리 매출 27조원↑
"범용 D램·낸드 수요 강세 영향…내년 HBM3E·HBM4으로 본격 성장"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이날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천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72% 늘고,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이날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천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72% 늘고,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올해 3분기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를 제치고 '글로벌 메모리 시장 1위' 자리를 탈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독주 중인 SK하이닉스에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내준 지 1개 분기 만에 다시 정상의 자리를 되찾았다.

다만 SK하이닉스 역시 1위 자리를 내주긴 했지만 매출로 따지면 두자릿 수 성장을 이뤄냈다.

1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D램과 낸드 플래시를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194억달러(약 27조6천7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SK하이닉스는 175억달러(약 24조9천600억원)을 달성했다.

전 분기 대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각각 매출이 25%, 13% 늘어났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는 범용 D램, 낸드 수요 강세로 1위를 회복했으며, 올해 부진했던 HBM 또한 내년부터 HBM3E(5세대)·HBM4(6세대)에 힘입어 본격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회복세를 통해 4분기에도 삼성이 메모리 시장 1위를 유지할 것으로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전망했다.

다만 3분기에는 낸드가 아닌 D램에서는 1위 자리를 탈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압도적인 HBM 시장 점유율 가진 SK하이닉스에 33년 만에 처음으로 '글로벌 D램 1위' 자리를 빼앗겼으며 이 추세는 2분기까지 이어졌다.

이와 함께 2분기에는 낸드까지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도 SK하이닉스가 사상 첫 매출 1위를 차지했다.

최정구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책임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상반기 HBM 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품질 회복을 위한 강도 높은 노력의 효과로 반격에 성공하며 이번 분기 1위를 탈환했다"며 "아쉽게도 D램 시장은 근소한 차이로 1위를 탈환하지 못했지만 내년 HBM3E의 선전과 HBM4의 확판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HBM3E 공급 등이 가시화하고 있는 만큼 이르면 4분기에는 D램 1위를 차지해 완전한 메모리 반도체 1위 자리를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HBM 점유율 역시 확대가 예상된다.

삼성전자가 HBM3E 12단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던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맺은 데 따라 HBM 출하량 확대도 기대된다.

또 엔비디아와는 HBM3E 공급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HBM4 공급을 위한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사업의 회복에 따라 실적도 크게 반등했다.

올해 3분기 삼성전자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86조원, 12조1천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를 맡고 있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영업이익을 5조원 후반대로 보고 있다. 특히 D램에서만 6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