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북극항로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하며 모처럼 국회에서 한 목소리를 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도 이에 호응했으나 "사업 구체화가 덜 됐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북극항로 개척'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전 장관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해 해양 수도권을 육성하겠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을 연내 완료하고 국적선사와 협의해 내년부터 북극항로 시범 운항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행정과 사법, 산업, 금융의 기능을 해양 수도권에 집적화하겠다"며 "동남권에 있는 주요 항만별로 특화된 인프라와 산업 단지를 구축하고 이를 뒷받침할 범정부 추진체계를 갖추겠다"고 부연했다.
북극항로는 기존의 수에즈 운하 항로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됨에 따라 새롭게 주목받는 항로다. 기후변화 가속으로 북극해 해빙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발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북극항로 거점항을 둘러싸고 동·남해안권 해양도시의 경쟁도 치열하다.
이날 전 장관은 북극항로가 서울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그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가 가져오게 되는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경제효과를 여수광양에서 부산, 울산, 포항까지 넓혀 놨다"며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다극체제로 나아가는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제주항을 북극항로 거점항으로 키워 나가야 한다'는 문대림 민주당 의원의 질의엔 "북극항로 시대에 대한민국이 항만을 가지고 있는 모든 도시가 북극항로의 직간접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받아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북극항로의 성공을 위한 당부도 이어졌다.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고령성주칠곡)은 전 장관에게 "북극항로 개척을 찬성하지만, 예산 편성 관련해 사업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며 "북극항로가 선거용 청사진으로만 쓰여지고 폐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포항 영일만항 등 많은 아이템들이 연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전 장관은 "(관련 사업은) 지금 구체화시키지 못한 것도 상당히 많이 있고, (북극항로는) 글로벌 3대 항로로 들어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길목에 있는 위치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계속해서 개발해야 한다"며 "포항 영일만항은 그 특성에 맞게끔 거점항만으로 육성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