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김밥축제가 또 '대박'을 터뜨렸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2025 김천김밥축제는 25일과 26일 이틀간 직지문화공원과 사명대사공원 일대에서 열렸다.
지난해는 이틀간 10만명이 축제장을 방문했지만, 올해는 첫날에만 8만명의 인파가 몰렸다. 둘째 날도 7만명의 인파가 몰리며 김천시 인구 14만명을 훌쩍 넘어서는 15만명(김천시 추산)의 관광객이 축제장을 방문했다.
김천시는 지난해 축제에 애초 예상한 방문객이 애초 예상을 10배 넘는 10만명의 인파가 몰렸던 것을 고려해 준비를 철저히 했다.
먼저 지난해 '김밥 없는 김밥축제'란 혹평을 벗고자 올해는 시간당 김밥 1천 줄을 생산하는 김밥 공장을 비롯해 김밥 10만 줄을 준비했다. 김천김밥쿡킹대회에서 우승한 '호두 마요 제육 김밥'을 비롯해 전국 프랜차이즈 김밥과 외국인들에게 익숙한 냉동 김밥 등 김밥 50여 가지를 판매하는 부스도 32개로 늘렸다.
또 부스마다 키오스크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김밥 수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대형 전광판도 도입했다.
교통대란에 대한 대책으로 셔틀버스를 10대에서 50대로 확대하고, 6천600면 규모의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준비를 하고 손님을 맞았다.
축제장은 김밥의 주재료를 본뜬 '무지링존(단무지)', '오잉존(오이)', '햄찌존(햄)'으로 나뉜 3개 섹터로 구성했다.
김천김밥축제 방문객들은 소풍을 온 듯 돗자리에 앉아 김밥을 먹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축제를 즐겼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상에는 "3시간 만에 맛본 김밥이었지만 너무 맛있었다", "쌓아두고 먹고 싶었다", "내년에는 더 일찍 출발해 품절돼 못 먹은 김밥도 먹어보고 싶다" 등 긍정적인 글들이 쏟아졌다.
하지만 예상을 넘는 방문객으로 인한 혼란도 여전했다.
"셔틀버스 기다리는 데 1시간, 셔틀버스를 타고 축제장 가는 데 1시간이 걸렸다" 등 교통 대책에 대한 불만과 "부스마다 김밥을 사려는 줄이 길어 빨리 준비되는 냉동 김밥만 먹었다" 등 불평도 이어졌다.
실제 일부 김밥 부스는 준비된 김밥이 소진돼 판매를 조기 중단했으며 1인당 구매 수량을 제한한 부스도 있었다.
또 "축제일을 더 늘려서 수요를 분산해야 한다.", "축제장은 조각공원 등 시내로 바꿔야 한다" 등 김밥축제에 대한 다양한 제안도 있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