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운을 가를 한미 관세·안보 협상의 '담판 무대'가 될 한미 정상회담의 날이 밝았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 경주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이 당면한 현안을 협의하고 미래를 향한 공동 번영 방안을 논의한다.
가장 큰 관심사는 정상회담에서 관세·안보 협상이 최종 합의에 이르느냐다. 관측은 엇갈린다.
조선업 협력을 원하는 미국 측에서는 '톱다운 방식을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을 고려할 때 이번 정상회담에서 극적 타결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신중하기만 하다.
실무협상에서 완전하게 합의를 보지 못한 쟁점 현안을 두고 미국 측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현장 개인기'에 기대를 거는 눈치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시점보다 내용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 기간 중 최종 결론에 도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특히 이 대통령은 26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지연이 반드시 실패를 의미하진 않는다"면서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것은 이해하지만 한국에 재앙적 결과를 초래하는 수준이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모양새가 좋은 상황을 만들기 위해 협상 결과를 양보하지는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다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우리 측의 신중한 입장이 협상에서 불리한 진영이 취하는 전형적인 전술일 수 있고, 즉흥적인 선택을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통 큰 양보가 동반된다면 극적인 타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정상회담 기회를 놓칠 경우 자칫 관세협상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극적인 타결 가능성에 힘을 싣는 요인으로 꼽힌다.
정치권 관계자는 "조선업 협력에 대한 미국 측의 의지가 강하고 안보 현안 분야에서는 양국이 상당한 의견 접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노딜'(아무 성과가 없는 회담)이 되는 일이 없도록 우리 정부가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경북 입장에서도 협상 지연은 악재다. 지역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부품업계가 미국의 폭탄 관세를 더 견뎌야 하고, 안보 현안(한미원자력협정 개정 등) 합의·공표 지연으로 국내 원자력발전 산업의 중대한 전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수 있어서다.
이 대통령이 미국 측으로 기운 운동장에서 어떻게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관철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