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강남 아파트 2채 보유' 논란에 휩싸여 "한 두 달 내로 정리하겠다(1채는 팔겠다)"고 밝힌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자신의 서울 서초구 우면동 소재 아파트를 최근 실거래가 대비 4억원 높은 가격에 내놓은 것을 두고 "대출규제 등 주도한 금감원장이 자기 집값 올려서 10.15 주거재앙 조치(10.15 부동산 대책)가 폭망했다는 것을 몸으로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28일 오후 9시 12분쯤 페이스북에 '금감원장조차 10.15조치 이전보다 4억 높게 집 내놨습니다. 이래놓고 앞으로 10.15 조치로 집값 내릴거라고 하는건 '국민상대로 사기치는 것'입니다. 이걸로 이미 이 정책은 망했습니다. 철회해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10.15 주거재앙 조치는 '집값 오르게 하면 폭망이고, 집값 내리게 하면 성공'이다. 그런데, 대출규제 등 10.15 주거재앙 주도한 민주당 정권의 실세 금감원장 이찬진 씨조차 자기 집을 '10.15 주거재앙 이전보다 4억 높게' 내놨다고 한다. 이래놓고 앞으로 10.15 조치로 집값 내릴거라고 하는건 '국민 상대로 사기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감원장조차 벌써 이 조치는 실패한다는 쪽에 배팅한 것"이라며 "더 늦기 전에, 국민이 더 피해보기 전에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지난 2002년 서울 서초구 우면동에 공급 면적 155.59㎡(약 47평) 아파트를 아내와 공동 명의로 구입했다. 이어 17년 뒤인 2019년에 같은 단지 내 동일 면적 아파트를 한 채 더 구입했다.
이어 지난 21일 열린 국정감사 자리에서 아파트 2채 모두 작업실과 서재 등을 겸해 가족들과 실거주하고 있다며 그 가운데 1채는 자녀에게 양도하겠다고 말했다가 비판이 일자 결국 "처분하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그런 다음 2002년에 산 아파트를 매물로 내놓은 게 확인됐는데, 22억원에 올라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 달 전 같은 아파트 동일 면적이 18억원과 18억2500만원에 각각 거래된 것 대비 4억원 높은 가격이다. 이 아파트 최고가는 2021년 거래된 20억원으로, 이보다 2억원 높은 '신고가'를 노린 셈이기도 하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