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2030년대 중반 이후 전력화를 목표로 5천t급 이상의 핵추진 잠수함을 4척 이상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의 연료 협의와 건조 방식 등을 놓고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30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감사에서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은 '장보고-Ⅲ 배치-Ⅲ' 핵잠수함 건조 일정과 관련한 질의에 대해 "착수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면서도 "결정이 난다면 10여 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결정하더라도 (건조 완료 시기는) 2030년대 중반 이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총장은 건조 예정인 핵추진 잠수함의 배수량에 대해 "5천t 이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용될 연료의 농축도에 대해서는 "평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면 (우라늄) 농축 정도가 20% 이하 정도로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핵잠수함의 필요 수량에 대해 "해군과 협의해야 하겠지만, 4척 이상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안 장관은 준비 상황에 대해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는 여러 여건을 이미 갖춰놨고 마지막에 연료가 필요했던 것인데 그 부분에 대해서 미국 협조를 받아서 완결점을 이룬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고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미국과 별도의 협정 체결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오커스(AUKUS)를 통해 호주가 핵잠수함을 도입할 때 체결한 방식과 유사한 형태가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핵잠수함의 핵심 동력인 소형모듈식원자로(SMR) 기술의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안 장관은 "(핵잠수함의 동력인) SMR(소형모듈식원자로) 많이 진척됐다"며 "프로세스상 육상에서 먼저 시험하고, 수중으로 가야 해서 그런 절차도 어느 정도 완성됐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핵잠수함 도입이 갖는 전략적 의미에 대해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과 속도에서 도저히 북한이 준비하고 있는 핵 잠수함을 능가할 수 없기 때문에 대단한 의미가 있다"며 "전략자산으로서 우리가 (자주국방의) 충분히 여건을 갖추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고 평가했다. 강 총장도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 잠수함에 바로 대응할 수 있는 전력이며, 다양한 해양 위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날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이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 건조될 것"이라고 SNS를 통해 밝힌 데 대해 안 장관은 "이 문제에 대해서는 한미 간 추가적인 논의를 반드시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핵추진 잠수함과 소형 원자로는 국내에서 생산하고, 연료인 농축 우라늄을 미국 측에서 공급받는다는 계획이지 않았냐"고 묻자, 안 장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유 의원이 "필리조선소에서 건조되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이 미국의 (기술지원을 받아) 로스앤젤레스급이나 버지니아급으로 건조되느냐"고 질문하자, 안 장관은 "오늘 새벽 나온 안건이기 때문에 파악해봐야겠다"고 말했다. 강 총장은 "필리조선소에는 잠수함 건조에 필요한 시설이 없어 이를 만들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냐"는 지적에 "많이 걸리는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군 당국은 핵잠수함 건조를 준비하기 위한 사업단을 구성해 조선소 등에 대한 실사를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안 장관은 "TF를 구성해 여러 운용 능력 또 어디서 어떻게 할 것인지, 또 어느 기업에서 할 것인지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새로 시작해야 하는 'ABC 단계'"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