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젠슨 황 "AI 버블 섣부른 판단…한국 세계 최고의 기술력 자부심 가져도 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31일 APEC CEO 서밋 후 별도 기자회견

31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정우태 기자
31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정우태 기자
31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정우태 기자
31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정우태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인공지능(AI) 혁명이 닷컴 버블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산업 근간을 바꾸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CEO는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세션 참석 후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별도의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그는 "AI가 새로운 혁신의 시작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AI 혁신은 두 가지 축으로 진화하고 있다. 범용 컴퓨터는 AI 컴퓨터로 바뀌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에도 AI가 탑재되고 있다. 최근 3년간 변화를 보면 상당히 속도가 빠르고 유용한 답을 주는 단계에 진입했다. 닷컴 버블 충격이 있던 2000년대와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AI 패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양국의 경쟁에 대한 의견도 내놨다. 황 CEO는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서 수익을 거뒀고 거대한 시장이다. 중국의 잠재력도 인정한다. 하지만, 경제 안보 측면에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들(중국 기업)도 자체 칩 생산에 나서고 있고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중 양국이 이익을 볼 수 있는 부분도 분명히 있다. (무역 협상 등에서도 )합의를 이끌어 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AI 주도권에 대한 질문에 그는 "중국의 인재들이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미국이 인재를 유치하는 데 적극적을 나서야 한다. 미국은 세계 표준을 주도하고 있다는 면에서 유리한 입장이고 미국 기업인으로서 리더십을 유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한국의 잠재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재차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황 CEO는 "한국은 피지컬 AI를 실현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제조 강국이고 로보틱스 기술력도 높다. 한국 정부와 주요 기업을 이끄는 경연인들도 의지를 갖고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양산에 대한 자신감도 드러냈다. 황 CEO는 "블랙웰의 후속인 루빈 생산은 내년에 차질 없이 진행 될 것"이라며 "한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HBM(고대역폭메모리) 공급도 확대될 수 있다. 한국의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자부심을 가지기에 충분하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