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대구경북 지역 경기가 전보다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대경권 경제 동향'에 따르면 대구경북 지역 경기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완만히 회복세를 보이며 전 분기보다 나아졌다. 다만, 건설업은 공사비 부담으로 위축됐다.
제조업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생산은 스마트폰용과 차량용 OLED 수요 확대에 힘입어 늘었다. 실제로 아세안 5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베트남)으로의 OLED 수출액은 전년동월 대비 7월 20%→8월 65%→9월 83.5%로 급증했다. 자동차부품 생산은 하이브리드·전기차 중심의 수요 호조로 증가했고, 철강은 정부의 중국산 저가 철강재 반덤핑(최대 34.1%) 조치와 인도·베트남 인프라 수요 확대로 개선됐다. 반면 휴대폰 및 부품은 대중 수출 부진(-35.0%)으로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전 분기보다 소폭 증가했다. 운수·창고업은 대형화물차 통행량이 전년동기대비 16.0% 늘고, 대구·포항공항 여객·화물 처리량이 각각 2.8%, 2.9% 증가했다. 숙박·음식점업은 APEC 정상회의 사전행사로 숙박객이 늘었고, 정부의 소비쿠폰 지급과 승용차 신규등록(월평균 1만213대, 전년대비 19.6%↑)도 소비를 끌어올렸다. 다만 부동산업은 가계대출 총량 감축(50%) 등 규제 여파로 주택거래가 9.2% 감소했다.
건설업은 민간 중심으로 소폭 감소했다. SOC 예산 지출이 33% 줄었고, 건설공사비지수(131.2)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수익성이 악화됐다. 대구지역 분양물량은 32.5% 늘었지만 미분양 주택은 1만4천209호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수출 제조업이 경기 회복을 견인하지만, 내수와 건설 부진이 지속될 경우 실질 반등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한국형 첫 핵추진 잠수함 함명은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