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를 대표하는 도서관인 대구도서관이 5일 개관했다. 대구도서관 설립은 2014년 기본계획 수립 후 10년 이상 걸린 시민들의 숙원(宿願) 사업이었다. 남구 대명동 미군 캠프워커 헬기장 반환 부지에 건립된 대구도서관은 단절된 공간을 연결하는 복합문화공간이라는 상징성을 갖는다.
대구도서관은 연면적 1만5천75㎡(4천560평),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다. 사업비 585억원(시비 561억원·국비 24억원)이 투입됐다. 장서(藏書)는 8만5천여 권에 이른다. 이용자 편의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된 스마트 도서관이다. 지하에는 102만 권을 수용하는 공동보존서고가 있다. 지역 내 도서관에서 학술·역사적 가치가 큰 도서를 이관(移管)받아 체계적으로 보존·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한 '24시간 북 드라이브스루', 대구 지역 공공도서관의 책을 집 가까운 공공도서관에서 대출할 수 있는 '책두루서비스'도 전국 최초로 시행한다.
대구도서관은 일반 공공도서관과 다르다. 대구도서관은 대구시 최초 직영(直營) 도서관이면서 대표도서관이다. 대표도서관은 도서관법에 근거한 시·도 단위의 도서관 업무를 총괄하는 도서관이다. 즉 도서관의 허브(hub)다. 대구도서관은 또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소음(騷音) 문제를 일으켰던 미군 헬기장 부지에 들어섰다는 점이다. 헬기장으로 막혔던 도시 공간을 잇고 주민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대구도서관은 대표도서관의 정체성(正體性)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대구도서관은 지역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과 협업으로 시민들에게 학습과 문화 향유(享有)의 기회를 확대하고, '책 읽는 대구'를 만드는 데 이바지해야 한다. 지역의 역사·문화·평생교육 자료를 보관·활용하는 아카이빙 사업도 절실하다. 이는 대구의 문화 역량과 창의성을 증진하는 전기가 될 것이다. 대구도서관을 전국 최고의 대표도서관으로 만들자. 대구시의 적극적인 투자와 함께 시민의 참여가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