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은 재난을 구원하지 않지만, 기억의 자리에서 멈춰 서게 한다."
박창모 사진작가(계명대 대외홍보팀, 전시기획)는 2025년 봄 경북 산불의 잿빛 현장에서 이 질문을 꺼내 들었다. 그는 재난의 현장을 단순한 기록이 아닌, '기억의 윤리'를 담은 예술의 공간으로 옮겨왔다.
검게 타버린 숲, 그 속에서 살아남은 나무 한 그루, 그리고 다시 살아나는 초록의 조짐까지. 그 모든 장면은 '검은 봄 – 2025 경북산불사진기록'이라는 이름으로 대구 하빈PMZ평화예술센터에서 11월 3일부터 28일까지 이어진다.
이번 전시는 지난 3월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해 안동·청송·영양·영덕으로 번진 대규모 산불의 기록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박창모 작가를 비롯해 대구·경북 언론사 사진기자 공정식(뉴스1), 김영진(매일신문), 김진홍(대구일보), 이용선(경북매일)과 대구·경북 소방관, 피해 지역 주민이 직접 촬영한 사진이 함께 전시된다.
생생한 재난의 현장과 검게 타버린 삶의 터전을 바라보는 주민의 시선, 그리고 '예술과 재난'이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사진작가의 기록이 어우러져 재난의 다양한 층위를 담아냈다.
이번 전시는 '제10회 대구사진비엔날레 프린지 포토 페스티벌' 참여 전시로, 총 23점의 사진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시된다. 사진은 재난 이후의 자연·사람·복원의 시간을 따라 흐르며 관객에게 기억의 지속성과 회복의 의미를 묻는다.
박창모 작가는 "재난은 예고 없이 찾아오고, 물리적 파괴이자 정서적 단절을 낳는다. 예술은 그 앞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며 "이번 전시는 말하기보다 듣는 방식에 가까운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누군가에게는 지워지고 싶은 기억일 수도, 누군가에게는 결코 잊히지 않는 고통일 수도 있다. 관객이 작품 앞에서 잠시 멈춰 서서, 아무 말 없이 그 자리에 머물러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전시는 "끝이 아닌 '검은 봄이 초록 봄으로 바뀌는 그날까지'로 이어질 기록의 여정"으로 기획됐다.
관람은 무료이며,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된다. 일요일은 휴관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