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 등 수출 중심 산업의 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2026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 말 평균 1.9%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인 9월 말(1.8%)보다 0.1%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이번 평균치 상승은 씨티(Citi)가 기존 1.6%에서 2.2%로 전망을 크게 높인 데 따른 영향이 컸다. 씨티를 포함해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2.2% 성장을 예상하며 '2%대 회복'을 공통적으로 제시했다. 노무라는 1.9%, UBS는 1.8%, 바클리는 1.7%로 각각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1.6%)를 제외한 대부분 IB들이 한국은행의 기존 전망(1.6%)을 웃돌았다.
올해 성장률이 평균 1.0%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1년 새 성장 속도가 배 가까이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다. JP모건은 지난 9월 내년 성장률 전망을 2.1%에서 2.2%로, HSBC는 1.6%에서 1.7%로 각각 상향했다.
IB들은 특히 수출 부문을 낙관적으로 봤다. 주요 8개 IB의 내년 우리나라 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은 평균 5.3%로, 9월 말(4.7%)보다 0.6%p 상승했다. 씨티는 4.4%에서 7.1%로, 노무라는 3.9%에서 6.6%로 상향 조정했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6.6%에서 6.0%로 낮췄지만, 전반적인 평균치는 오히려 올랐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경기 반등과 자동차 수출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본 결과다. 특히 글로벌 AI 투자 확산으로 서버용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수요가 늘어나면서 한국 수출의 하방 리스크가 완화될 것으로 평가됐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