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암표로 6년간 100억 탈루…국세청, K팝 콘서트·스포츠 암표업자 첫 기획 세무조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국세청이 K팝 콘서트와 스포츠 경기 입장권 등을 대상으로 불법 암표 거래를 벌여 거액의 이익을 챙긴 업자들에 대해 사상 처음으로 기획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국세청은 6일, 한류콘텐츠 여행상품을 기획하는 A사, 중고거래형 암표 플랫폼 B사, 개인 암표상 C씨를 포함해 총 17개 전문 암표업자(법인 3곳)를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6년간 최소 4만매의 입장권을 웃돈을 붙여 되팔며 과소신고한 매출만 1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A사는 B사에 티켓당 10만 원의 수수료를 주고 K팝 콘서트 암표를 대량 매입한 뒤, 이를 한류 관광객에게 정가의 2.5배로 되팔았다. 암표업자 C씨는 명품 판매를 가장해 공연·스포츠 티켓을 함께 거래하며, 사업자 등록 없이 개인계좌로 대금을 받아 탈세를 시도했다.

이번 조사대상에는 공공기관 종사자와 사립학교 교사 등도 포함됐다. 모두 30대 중반 남성으로 각각 4억원, 3억원대의 부당소득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국세청은 이들 17개 업자가 누락한 암표 거래 규모가 최소 22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들의 주요 수법은 중고거래형 재판매와 '대리 티켓팅(댈티)'이다. 매크로 프로그램이나 '직접 예약링크(직링)'를 이용해 입장권을 선점한 뒤, 이를 웃돈을 붙여 되파는 방식이다. 판매 내역을 숨기기 위해 게시글을 삭제하거나 거래 완료 처리를 하지 않는 수법도 동원됐다. 일부 대리 티켓팅 업체는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혜택까지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덕수 국세청 조사국장은 "상위 1% 판매자의 연간 거래건수를 훨씬 초과한 전문 암표상 중 탈루 혐의가 짙은 자들을 집중 조사한다"며 "암표판매 관련 현금거래를 FIU 정보와 금융추적을 통해 철저히 검증하고, 조세포탈이 확인되면 즉시 고발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