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제재 1년 유예…미중 무역 휴전 합의 영향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내 나래마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내 나래마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미중 무역 전쟁 확전 자제 합의에 따라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1년간 유예하기로 했다. 미국의 '무역법 301조' 조사 중단과 맞물리며, 지난달 '부산 정상회담'에서 이뤄진 미중 무역 휴전 합의가 실질적 조치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상무부는 10일 "미국이 11월 10일부터 중국 해사·물류·조선업에 대한 '무역법 301조' 조사 조치를 1년간 중단했다"며 "이에 따라 한화오션의 미국 소재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도 1년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지난달 30일 부산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도출된 무역 전쟁 확전 자제 합의의 후속 조치다. 합의는 미국 동부시간 기준 10일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2시 1분)부터 정식 발효됐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14일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들이 미국무역대표부(USTR)의 '무역법 301조' 조사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이들 회사를 제재 명단에 올렸다. 당시 중국 정부는 "한화오션이 미국의 조사 활동을 지지해 중국의 주권과 안보, 발전 이익을 침해했다"며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제재 대상에는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쉬핑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 등 5곳이 포함됐다. 특히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필리조선소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상징으로, 지난 8월 이재명 대통령이 방문했던 곳이다.

당시 중국의 제재는 미중 간 항만 수수료 부과 갈등이 격화되던 시점에 이뤄져, 한국이 무역 분쟁의 직접 영향권에 들어섰다는 분석을 낳았다. 미국이 중국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자, 중국은 이를 '경제적 압박'으로 규정하고 미국과 협력한 외국 기업까지 보복 대상으로 삼았다.

이후 지난달 부산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무역 전쟁 확전을 자제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무역법 301조 조사에 근거해 중국 해운·물류·조선 산업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기로 했고, 이에 맞춰 중국도 관련 제재를 철회하는 쪽으로 움직였다. 한화오션은 중국 정부의 발표 직후 "중국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이번 유예 조치를 계기로 중국 측 사업 파트너들과의 관계가 더욱 발전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