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천, 상주 등 인구감소지역에 중장년층 유입 늘어…이유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청년층 수백~수천 명 줄어도 중장년층 순유입 상당해
동일 시도 내 은퇴 세대의 이동…전원생활 누리며 의료·문화 서비스 이용
국회 미래연, "중장년층 유입, 인구감소지역 활성화 촉진제 역할"

경북 등 전국의 인구감소지역이 청년층 이탈로 고심하고 있지만 그만큼 중장년층 유입도 상당해 이를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국회미래연구원이 발표한 '인구감소지역의 새로운 기회 요인 탐색 : 중장년층 유입과 발전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구에서 청년층(19~34세)은 부산 동구를 제외한 88개 지역에서 순유출이 나타났다.

반면 중장년층(50~64세)은 대부분 지역에서 순유입이 발생했다.

진학과 취업을 위해 도 지역에서 광역시 지역으로 이동하는 청년층과 달리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생활의 질 향상과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며 광역시에서 도 지역으로 이동하는 역방향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영천시의 경우 최근 3년간 청년층이 2천30명 순유출했으나 중장년층은 1천380명이나 순유입했다. 상주시 역시 청년층 1천645명이 순유출했지만 중장년층은 1천35명 순유입됐다.

보고서가 중장년층의 이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 40~80%는 동일 광역시도 내에서 이동했고 그 사유로 50% 이상이 '주택' 요인을 꼽았다. 원거리보다 익숙한 생활권 내, 도시의 의료·문화를 1~2시간 내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해 전원생활의 장점을 누린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중장년층 순유입 증대를 위해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한 대도시 연계 강화, 의료 접근성 제고, 맞춤형 주거단지 조성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