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운동부 폭력, '복합 위기 상황' 지적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학생 보호 우선, 공감과 신고 시스템 강화 필요

경북도의회 김대일 도의원. 경북도의회 제공
경북도의회 김대일 도의원. 경북도의회 제공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최근 행정사무감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지난 10일 김천·상주·문경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한 감사에서 '상주 씨름부 학생 폭행 사건'의 미흡한 대응을 집중 점검했다.

김대일 도의원(안동·국민의힘)은 "학교 운동부에서 발생한 폭행과 학교폭력, 자살 시도까지 이어진 사건이 두 달 동안 제대로 조치되지 않은 것은 대응체계가 사실상 작동하지 않았다는 명확한 신호"라고 지적했다.

김 도의원은 이번 사건을 단순한 체육 지도자의 폭행 사건으로 보지 않고, 학교운동부 폭력·학교폭력·자살위험 관리가 동시에 요구됐던 '복합적 위기 상황'으로 규정하며, 학교와 교육지원청, Wee센터 모두가 제때 대응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경북도교육청 제출 자료에 따르면, 폭행 사건은 6월 초에 발생했으나 교육당국이 본격적으로 인지한 시점은 8월 초였고, 그 사이 학생은 자살 시도까지 이어졌다.

김 도의원은 "Wee센터는 위기 학생에게 병원 응급실과 같은 역할을 해야 하는데, 상담이 접수 하루 뒤에 진행된 점은 적절했는지 다시 살펴봐야 한다"며 "'규정을 지켰는지'보다 '학생 보호를 우선한 대응이었는지'가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교육현장의 공감 능력을 키우고, 학생들이 친구의 아픔을 신고할 수 있는 윤리적 교육과 신고 시스템 개선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김 도의원은 끝으로 "폭력을 겪고도 말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작은 신호를 놓치면 결국 학생의 절규로 돌아온다는 것을 이번 사건이 보여줬다. 학생을 먼저 살피고 손을 내미는 학교 문화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