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을 선도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내 데이터센터 신설을 이어가고 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는 12일(현지시간) 자사의 비즈니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링크드인을 통해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새 데이터센터 '페어워터2'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위스콘신주 마운트플레전트에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 '페어워터'의 이름을 그대로 딴 것이다. 두 데이터센터를 고속망으로 연결해 하나의 'AI 슈퍼팩토리'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MS는 이들 두 데이터센터는 최신 AI 가속기인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십만 개가 배치되며, 전선의 배선을 최소화해 이들을 최대한 밀집시킴으로써 지연시간을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또 메타는 위스콘신주 비버댐에 자사의 세계 30번째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이 데이터센터는 70만 평방피트(약 6만5천㎡) 규모로 세워지며, 오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메타는 신설되는 데이터센터가 100% 청정에너지로 매칭돼 구동되며, 소비하는 물도 100% 인근 유역으로 복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챗봇 '클로드' 운영사 앤트로픽도 이날 미국 내 AI 인프라에 500억 달러(약 73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텍사스주와 뉴욕주에 맞춤형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2026년 첫 가동을 목표로 하는 이들 데이터센터는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를 공급하는 AI 클라우드 플랫폼 '플루이드스택'과 협력해 구축될 예정이다.
앤트로픽은 이번 투자에 따라 미국 내 800개의 정규직 일자리와 2천 개 이상의 건설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앤트로픽 측은 그러면서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에 대해 "미국의 AI 리더십을 유지하고 미국 내 기술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AI 실행계획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미국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하게 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빅테크들은 최근 미국 내 AI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는 한편 미국 내 제조업을 부활시키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맞추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프트뱅크·오라클과 함께 미국 전역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발표하고 있다. 아마존은 최근 인디애나주에 110억 달러 규모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레이니어'를 공개했는데, 이 데이터센터는 앤트로픽의 챗봇 클로드가 독점 사용한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 절반 이상…李대통령 공직선거법 재판 재개해야"
"항명 검사 파면"…법 바꿔서라도 檢 징계한다는 민주당
한동훈 "조씨(조국), 구질구질 대타 세우고 도망가지 말고 토론 나와라"
내년 예산안부터 지방 우대…공공기관 지방 이전도 속도
"법무차관이 사실상 항소 포기 요구"…고개 든 정성호 사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