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장수 원전인 고리 원전 2호기의 수명이 결국 연장됐다. 오는 2033년 4월까지 추가 가동될 전망이다.
원자력안전위원위원회는 13일 제224회 회의를 열어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를 표결로 의결했다. 이날 표결에서 찬성 5인, 반대 1인으로 원안 의결됐다.
원안위는 이날 회의에서 2033년 4월 8일까지의 계속 운전 기간 동안 충분한 안전 여유도가 확보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또 계속 운전으로 인한 영향과 중대 사고를 포함한 주요 사고 영향도 모두 안전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해 고리 2호기 계속 운전 허가를 의결했다.
원안위는 지난 9월 25일(제222회), 10월 23일(제223회) 두 차례에 걸쳐 고리 2호기 계속 운전 허가(안)을 심의했으나 검토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위원들의 의견에 따라 결정을 보류했다.
최원호 원안위 위원장은 "현장 점검을 통해 한수원의 설비 개선이 안전 기준에 부합되게 이행되는지 철저히 확인해 고리 2호기가 안전하게 운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 계속운전이 허가된 것은 2008년 고리 1호기, 2015년 월성 1호기에 이은 세번째 사례로, 10년만에 나온 계속운전 허가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2호기의 현재 진행 중인 설비개선을 완료하고 규제기관의 정기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한 후 2026년 2월 재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계속운전 기간 동안에도 지속적인 설비개선뿐만 아니라 안전조치 사항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발전소 안전성과 성능을 더욱 더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고리 2호기는 1983년 4월 9일 상업 운전을 시작한 가압경수로(고온의 물을 가압해 증기를 만드는 방식) 전기 출력 685메가와트(MWe)급 원전으로, 40년간 가동하다 2023년 4월 설계 수명이 만료돼 가동이 중단됐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 절반 이상…李대통령 공직선거법 재판 재개해야"
"항명 검사 파면"…법 바꿔서라도 檢 징계한다는 민주당
한동훈 "조씨(조국), 구질구질 대타 세우고 도망가지 말고 토론 나와라"
"법무차관이 사실상 항소 포기 요구"…고개 든 정성호 사퇴론
내년 예산안부터 지방 우대…공공기관 지방 이전도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