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육부, 2026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운영계획 사전 안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로봇 중심 인재 양성 지원 확대
올해 1천167억 원·내년 1천209억 원 투입 계획

최교진 교육부 장관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안 관련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반도체와 이차전지 분야에서 정부 지원이 이어진 데 이어, 내년에는 로봇 분야가 새롭게 추가된다.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18일 '2026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재정지원 사업' 운영계획을 안내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운영계획은 특성화대학 지정을 준비하는 대학들이 필요한 기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사전 안내이며, 정부안 기준의 선정 규모를 먼저 제시한 것이다. 본 공고는 국회의 예산안이 확정되면 그 결과를 반영해 발표될 예정이다.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재정지원 사업'은 첨단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 학사급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석·박사급 고급 인재 양성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사업은 기초과학과 기업 협업 교과목 확대, 우수 교원 확보와 교육·실습 환경 구축, 탄력적인 학사·교원 인사제도 촉진 등이다.

올해는 반도체 20개 사업단(30개교), 이차전지 5개교, 바이오 3개교를 대상으로 총 1천167억 원이 지원됐다. 내년에는 '국가첨단전략기술 지정 등에 관한 고시' 일부 개정에 따라 로봇 분야가 새로 포함되며, 바이오 2개교와 로봇 3개교를 선정하는 등 총 1천209억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인재 양성은 첨단산업 분야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핵심 과제"라며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을 지원해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로봇 등 첨단 분야 취업과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활성화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