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30대 무주택 7만명대…집주인은 6만명대로 줄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 무주택 7만6천가구·주택보유 6만7천가구
2020년 이후 무주택 늘고 집주인 줄어…'내 집 마련' 벽 높아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크게 오른 지난달 아파트를 포함한 서울의 집값 상승 폭이 전월의 2배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는 9월 대비 1.19% 상승했다. 상승률은 전월의 약 2배로, 앞서 6·27 대출규제 시행 전 집값이 크게 올랐던 6월 상승률(0.95%)을 웃도는 수준이다. 사진은 1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크게 오른 지난달 아파트를 포함한 서울의 집값 상승 폭이 전월의 2배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는 9월 대비 1.19% 상승했다. 상승률은 전월의 약 2배로, 앞서 6·27 대출규제 시행 전 집값이 크게 올랐던 6월 상승률(0.95%)을 웃도는 수준이다. 사진은 1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대구와 경북에 사는 30대(이하 가구주 기준)의 내 집 마련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무주택 가구는 7만가구대에 머무는 반면 집을 가진 30대는 10년 가까이 줄어들며 '내 집 마련' 장벽이 더 높아지고 있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는 7만6천458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천510가구 줄었지만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대구의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7만7천125가구에서 2019년 7만1천50가구까지 줄었다가 2020년(7만2천640가구)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그리고 2023년에는 7만7천968가구로 정점을 찍었다.

반면 대구의 30대 주택보유자 수는 지난해 6만7천315명으로 전년(6만3천134명)보다 4천181명 늘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감소 추세다. 2015년 8만5천17명에서 2019년 7만9천337명까지 줄었고, 2020년(7만3천946명)부터 더욱 급감했다. 2022년에는 6만5천316명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2년간 소폭 반등에 머물렀다.

경북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지난해 경북 30대 무주택 가구는 6만9천409가구로 전년과 비교해 2천528가구 줄었다. 경북은 2015년 8만804가구에서 2019년 7만1천508가구까지 지속 감소했다. 2020년(7만1천451가구) 이후에는 7만여 가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경북 30대 주택보유자 수는 지난해 6만6천363명으로 전년보다 2천85명 늘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2015년과 비교하면 2만명 넘게 줄어든 상황이다. 경북 30대 주택보유자는 2015년 8만6천912명에서 2019년 8만3천837명까지 완만하게 줄었으나, 2020년(7만8천950명)부터 급감했다. 2022년 6만9천455명으로 6만명대에 진입한 뒤 최근 2년간 소폭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전국이 비슷하다.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는 지난해 52만7천729가구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5년 47만5천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천461가구까지 줄었다가 2019년(46만4천889가구)부터 지난해까지 6년 연속 증가했다.

부산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부산의 30대 무주택 가구는 11만3천893가구로 역시 2015년 이후 가장 많았다. 2015년 9만8천985가구에서 2016년 9만8천589가구로 감소했을 뿐 2017년(9만9510가구)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국적으로도 30대 무주택 가구는 지난해 199만7천228가구로 2015년(188만8천470가구) 이후 가장 많았다. 2018년 183만1천960가구까지 줄었다가 2019년(183만3천372가구)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집값 급등이 청년층 자가 마련에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나온다. 취업과 결혼 지연으로 주택 매입 시기가 늦어지는 점도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정부가 올해 내놓은 초강력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졌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대출 규제 강화로 "현금 부자만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는 청년층 자조도 커지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