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영곤 전 교육부 차관보, 25일 경남교육감 공식 출마 선언,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으로 전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김영곤 전 교육부 차관보 사진.
김영곤 전 교육부 차관보 사진.

김영곤 전 교육부 차관보가 25일 경남교육감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김 전 차관보는 25일 "경남교육은 지금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며 "아이의 성장을 중심에 둔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김 전 차관보는 지난 12년간의 경남교육을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행복교육을 내세웠지만 그 과정에서 문해력·사고력·집중력 등 기초학력이 약해졌고 전국 최하위권으로 떨어지는 역설을 낳았다"며 "활동은 많았으나 배움의 근력은 약해졌고 아이들의 성장 이야기도 깊게 쌓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교권 침해와 악성 민원이 반복되며 교사들이 보호받지 못했고, 학교 구성원 간의 신뢰도 무너졌다"며 교육 현장의 갈등 심화를 우려했다.

그는 경남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성장 중심 교육'을 제시했다. 김 전 차관보는 "교육의 목적을 결과로서의 행복에만 두는 흐름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아이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배움의 흔적과 경험의 깊이를 남기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교사는 행정이 아니라 수업과 연구에 몰입해야 한다. 교사가 성장해야 아이의 배움도 성장한다"며 교사 역할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이날 김 전 차관보는 경남교육을 '학력 회복', '교실 혁신', '지역 맞춤', '돌봄·안전', '미래교육' 등 5대 축으로 재설계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그는 문해력·수리력·사고력 회복 프로젝트로 흔들린 기초학력을 되살리고, '교권신속법률대응단' 설치로 교직원을 직접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18개 시·군 맞춤형 교육전략을 통해 "아이들이 사는 지역 때문에 교육을 포기하거나 떠나지 않는 경남"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 학교·지역·산업을 연결한 IPS 교육클러스터 조성, AI 기반 초개인화 학습 체제, PBL 중심 미래교육 구축 등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그는 "경남교육은 다시 시작해야 한다. 교육의 중심을 행정에서 사람으로, 통제에서 신뢰로, 성과에서 성장으로 옮겨야 한다"며 "교실에서 배움이 다시 살아나고 학교에서 신뢰가 숨 쉬는 경남교육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 전 차관보는 자신을 "아이의 성장을 지키고 교사를 보호하는 실무형 교육감"으로 규정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1968년 경남 남해 출생인 김 전 차관보는 서울대 교육학과 졸업 후 인디애나대 교수체제공학 석사, 동국대 교육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교육부에서 기획·국제·직업교육 등 핵심 부서를 두루 거쳤으며, OECD 교육국 정책분석가, 경기도교육청 기획조정실장, 제18대 국립국제교육원장, 교육부 차관보,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지원단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중앙 정책 경험과 현장 행정을 겸비한 '실무형 교육감'을 자임하며 2026년 경남교육감 선거를 준비 중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