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있는 곳에 법이 있다}라는 명제는 인간사회의 관계를 표현하는 너무나유명한 말로서 그 관계의 부가분성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런데 여기에서의법이란 당연히 {사회규범}을 뜻하는 것이 되며 이러한 사회규범에는 {관습,법, 도덕}이 있다.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갈파하였지만 굳이 그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사람과 사람사이의 질서유지를 위하여 법이란 것은싫어하든 좋아하든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버렸다. 그럼에도 우리는 지금까지도 {법}이란 것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가 될수 있는 가변적인 요소로만 생각하여 왔기에 언제든지 이를 변용할 수 있는 요소로만 생각하여 왔다.
그러나 사회질서 유지규범으로서의 법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할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때로 법을 무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그 시대가 지나면 결국 법의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법은 인간이 만든 것이지만 결국 인간이 지킬 수밖에 없는 마지막 기준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법을 지켰다는 안도감보다 법위의 상위규범인도덕률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가짐이다.
법에는 어긋나지 않았지만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수 밖에 없었던 사실에서 우리는 청와대 사정 비서관의 얘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겠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