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전공하는 H교수는 연전에 우리나라 교수의 성분을 네가지로 분류했다. 연구.정치.보직.낭만파가 그것. 연구파는 희귀멸종상태이며 낭만파가 주류라고 했다. H교수 자신도 연구파는 아직 못 만났으며 정치파는 {한자리}를노리며 권력주변을 맴돈다고 했다. *보직파는 역량이 정치파에 못미치나 입으로는 {연구하고 싶다}는 거짓말을 늘어놓는 부류, 낭만파는 연구.정치.보직에 관심없는 무능하고 저열한 계급으로 자신이 {낭만파교수}임을 알고 있단다.하루를 그냥 살아가는 낭만파야 말로 {삶}과 {존재}가 어떻게 다른 것인가를 생각해야 하며 {삶이란 밥먹고 X싸는 것 이상}(Life is more than eating)이란 조나단 리빙스톤 시걸의 말을 곱씹어 봐야 한다는 것. *강원대 박창고교수가 지난9월 교수협의회보에 실은 {이제 교수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기고문은 캠퍼스의 참모습을 고발한 신선한 충격이었다. 연구하지 않아 논문없는스승은 부교수로 앉아 있고 제자는 정교수로 군림하고 있는 대학의 현실을무엇으로 설명해야 할까. *이런 교수밑에서 배운 학생은 부가가치가 낮을 수밖에 없고 국제경쟁력을 이길수도 없다. 서울대는 안일한 연구풍토쇄신을 위해 계약교수제를 도입한단다. 그래서 공채-재임용-정년보장-퇴임이란 낡은 구습을 과감히 벗어던진단다. 그런데 학생들에게 강의평가를 맡긴다니 께름칙하다. 공부하지 않는 교수들이 평가학생들에게 어떤 몸짓을 보일지 그것이 두렵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