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치고 보약을 한두제 안먹어본 사람은 드물 것이다. 그러나 보약의 처방법이나 약재성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경산대 한의학과 배종국교수를 통해 보약 상식을 알아본다.한방의 약은 실증약과 허증약으로 구분된다. 인체의 음양 균형이 깨져 기능항진이 오는 경우를 양증 또는 실증이라고 하며 이때 대사작용을 억제해 주는약재를 쓰게 된다.반면 음양 부조화로 신체기능이 저하된 상태 즉 음증 또는 허증에서는 보약을 처방하게 된다.
인체의 허증은 기허 혈허 음허 양허의 4가지로 분류되는데 여기에 맞춘 보약이 보기약 보허약 보음약 보양약이다. 이같은 분류법으로 볼때 보약은 보신을 통한 치료약의 효능을 갖는다고 할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스트레스 신경열등 정신질환에 쓰이는 안신재도 보약의 범주에 포함시킨다.*보기약=인체 각기관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기허라 한다. 보기약은 이같이 저하된 생리 기능을 촉진시키고 체력을 증강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기허가 되면 비장(소화기) 및 호흡기 계통이 특히 부조화를 이루게 된다. 비장이 나빠지면 권태감, 사지무력감, 식욕부진, 복부팽만등의 증세를 보이게되고 폐허(호흡기 부조화)에서는 호흡촉박, 음성무력감, 안색창백, 식은땀증세가 나타난다.
보기의 약재로는 인삼, 황기(단 너삼), 산약(마), 백출(삽주나물 뿌리), 대추, 감초등이 있다.처방으로는 보중익기탕과 사군자탕이 많이 쓰인다.보중익기탕은 인삼, 황기, 백출, 감초의 기본약재와 당귀, 진피, 시호, 승마의 보조약재(기본약재의 특성을 살려주는 약물)로 구성된다.사군자탕은 인삼, 백출,백복령,감초의 4가지 성분으로 돼있다.
*보혈약=심장과 간계통의 기능부전을 혈허라 하는데 증상으로는 빈혈 자율신경 실조증 간염등이 있다.보혈약은 간접적으로 조혈기능을 촉진하고 간장을보호해주는 기능을 한다.
보혈재로는 숙지황, 하수오(뿌리:머리를 검게 해주는 약재로도 쓰인다),당귀, 백작약, 아교(노새의 가죽을 고아서 만든 약재), 구기자, 룡안육(열대과일 열매)등이 있다.구기자는 간의 지방침착을 억제하고 간세포의 신생을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보혈 처방으로는 사물탕(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과 당귀보혈탕(황기 당귀)이 대표적이다.보기 보혈때는 보혈의 4군자탕과 보기의 4물탕을 한데 합친8물탕을 쓴다.
*보음약=인체의 체액대사가 불량할 때를 음허라 한다. 체액부족에 따른 오장기능의 위축으로 입마름, 마른 기침, 목마름, 피부건조, 변비등의 증세를 보인다.
음허에서는 신장과 위장이 타격을 받는 것으로 설명한다.
보음재로는 사삼(더덕), 맥문동(뿌리), 오미자, 석곡(뿌리), 상기생(뽕나무가지에 기생한 다른 나무의 줄기), 호마(검은 깨), 흑두(검은콩), 구판(거북 배껍질), 별갑(남생이 등껍질)등이 있다.피부건조 때 검은 콩을 먹는 민간요법은 이같은 보음처방과 무관치 않다.
맥문동, 인삼, 오미자를 구성성분으로한 생맥산이 대표적 보음재의 하나다.*보양약=전신기능 또는 활동력의 쇠퇴를 의미하는 양허는 비뇨생식기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발기불능, 유정, 조루(남성), 백대하(여성), 야뇨증,소변빈사, 수족냉증, 요통, 새벽설사등이 양허의 증상이다.보양재는 자양강장과 성선기능의 촉진, 신체 저항력의 증가등 효능을 나타낸다.약재로는 녹용, 녹각, 육종용(수입식물 뿌리), 쇄양(뿌리), 음양곽(삼지구엽초), 호두, 파고지(씨앗), 두충(나무껍질), 해구신(물개 음경)등이 쓰인다. 음양곽이나 파고지는 모두 남성의 정력강화를 뜻하는 말뜻이 담겨있다.보양처방으로는 두충, 속단 (뿌리), 토사자(씨앗), 상기생을 성분으로 하는 보산탕이 있다.
한방에서는 남자에게는 주로 보기 보양약을, 여자에게는 보혈 보음약을 처방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