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대구가 우리나라 15개 시.도 중에서 GRP(지역총생산)가 가장 낮다고보도된 적이 있다.실제로 대구는 4천8백여개의 제조업체중 60%이상이 영세중소기업이고 섬유업이 전체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산업과 지식산업이 상당히 부족한 실정으로 지역경제 활성화가 시급한 현안이 된지는 이미 오래 전일이다.
대구경제의 낙후는 경공업이 중심이던 20-30년 전부터 싹터 왔으며, 이러한 대구 경제를 {위기}라고 해도 아마 지나친 표현은 아닐 것이다. 그러면위기의 대구를 그대로 둘 것인가? 몇가지 대안을 살펴보자.우선 전세계 내륙도시가 공통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입지적으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대안 개발이 시급하며, 주종 산업인 섬유산업의 첨단화와 산업구조 고도화는 물론 정보 지식산업의 육성등 왜곡된 3차 산업의 구조개선과 함께 주변 배후도시의 중심도시로서의 중추관리 기능을 제고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경제발전의 가장 핵심과제라 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을 위해 민간기업중심의 관련산업들이 서로 협력하여 공동기술 개발체제를 구축해 나가는 한편 시 또는 정부 중심의 산.학협동센터등을 기존의 경제연구소와 연계 시키는등 다각적인 경제발전 대응 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으로 여기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구사람 모두 분연히 일어서서 경제회생을 위한 노력과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 줄 때라고 생각한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