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레미콘 업계가 가격을 권장가 기준으로 4% 포인트 인상하려 한데서발단이 됐다. 레미콘의 권장 가격은 입방미터당 4만2천80원. 그러나 다른 도시에서도 이 가격을 다 받는 것은 아니다. 서울과 부산은 92% 수준을 받고,5대도시 평균 가격은 87%인 3만9천5백90원.그러나 대구는 더 낮다. 85%선인 3만5천7백60원. 대구도 본래는 89% 선이었으나 2년전부터 내렸다. 생산업계에서 말하는 인하 이유는 재료인 골재값 등의 하락.
하지만 업계에서는 올들어 값을 다시 올려야겠다고 나섰고, 이에 수요자인주택업계에서는 [우리도 분양 부진 등으로 사정이 어려운 만큼 올려줄 수 없다]고 반대하고 나섰다는 것. 생산업계가 올리겠다고 한 수준은 인하하기 전과 같은 권장가격 기준 89% 수준. 따라서 인상할 폭은 입방미터당 1천6백90원.이렇게 올려야 하는 이유로 레미콘 업계는 그 사이 원료인 골재값이 3차례나 올랐으며 그외에도 인건비.수송비 등도 올랐다고 주장했다. 이 원가 인상분을 모두 반영하려면 2천7백47원을 올려야 하나 [비용 분담 차원에서 이만큼만 올리겠다]고도 했다는 것이다. 26개 생산업체 가동률이 40% 밖에 안된다는 점도 인상요구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택업계에서는 현재 가격인 권장가격 기준 85% 수준 조차 제대로다못받고 있지 있느냐고 반문했다. 레미콘 업계가 대규모 주택업체에는 85%를요구하지만, 중소규모 주택업체에게는 스스로 82-83% 수준에 공급하고, 심지어는 79-80% 수준으로 공급하는 경우까지 있다고 지적한 것. 말하자면 [스스로 덤핑을 하면서 어떻게 더 올려달라고 하느냐]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한다면 89% 수준 인상 수용도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는것.
공은 결국 레미콘 업계의 덤핑 자율 극복으로 되넘겨진 셈이다. 그러나 이날 모임에서는 추석을 앞두고 레미콘업계의 자금난이 우려되므로 해결을 위해함께 노력하자는 데는 의견을 함께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주택업계에서는 밀린 대금이 있을 경우 빨리 지급하고, 자금 부족이 심할 경우 상의가나서서 은행 융자를 알선하는 등 노력을 하기로 한 것. 이와 관련 [중소주택업체에서는 6개월 짜리 어음이 많고 심지어 8개월 짜리까지 있어 은행으로부터 할인도 못받는다]고 시멘트가공업계에서는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