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후50주년을 앞두고 무라야마총리의 {담화}가 발표됐다. 전쟁에의 반성과 부전결의를 시작으로 전쟁관련 역사연구 지원, 아시아청소년 교류사업,특히 종군위안부문제와 사할린 잔류 한국인의 귀국지원등이 담겨 있다. 일본정부의 손으로 이처럼 폭넓은 내용을 포함한 {전후처리}구상이 제시된 일은없었다. 예전 자민당정권이 애매한 대응을 계속해온 위안부등 문제에 구체적선을 그으려 한 것은 {사람에 상냥한 정치}를 외친 무라야마정권다운 것이아닌가 평가하고 싶다.그렇다고 해도 문제점은 적지 않다. 우선 논의되어야 할 것은 종군위안부 출신자들에게 국가로서의 보상을 피하고 민간모금으로 {위로금}을 내게하겠다는{국민참가} 방식이다.
전후처리에 대해서는 이미 한국.중국등과의 정부간에 결착되어, 만약 새로운보상을 개시하면 강제연행과 재산피해를 비롯, 보상요구가 무제한 확대될 것이라는게 지금까지의 일관된 정부입장이다. 그렇다면 {사죄}의 의사를 밝히는것과 맞지않고, 거기서 궁여지책으로 떠오는 것이 민간모금이다. 이미 고령이 된 위안부출신들에게 한시라도 빨리 재정적 지원이 가능하고, 대상자 인정을 무난히 진행할 수 있다는 고려도 있었는지 모른다.
하지만, 민간모금에 의한 {위로금}으로 국가로서의 {사죄}가 될것인가. 주목되는 위안부출신자들 사이에는 일본정부의 책임회피라는 비판의 소리가 강하다. 그런 방식을 취하려면, 정부가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는 것이 그녀들의 마음에 울려 전해지도록 여러가지 노력을 해나가야 할것이다. {국민참가}를 요청한 총리의 호소가 전쟁을 모르는 세대를 포함해 일본국민 한사람한사람에게{전쟁과 평화}를 생각케하는 계기가 된다면 그것대로의 의의는 있을 것이다.무라야마총리는 반세기 가까이 방치돼온 피해자들 불신의 뿌리깊음과 정부책임의 중압을 음미해나가면서, 이번 {담화}를 실현하기 위해 지도력을 발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우리들도 전쟁의 참혹함과 아시아 생각에 다시금마음을 쏟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