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편입지역으로 최종 확정된 달성군의 행정기구 형태가 광역대구시 아래 {달성군}이냐 대구시 산하 {달성구}로 되느냐가 새로운 관건으로 대두되고있다.달성군은 총면적 4백30.34제곱키로미터(임야 61%.농경지 23%.기타 16%)에9개읍면(1개읍.8면) 1백90개리 3만4천5백여가구, 인구 11만여명(남52%.여48%)으로 돼 있는 대구권 도시로 90년대 들면서부터 대구시의 베드타운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지역이다.
연예산 8백20여억원에다 재정자립도가 40%나 돼 경북도내에서는 최고의 재정자립도를 기록하고 있는 부군(부군)이기도 하다. 그런데 대구시의 구로 편입될 경우 아직은 농촌 성격의 달성군 특성을 그대로 살릴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군의회의원들을 비롯한 주민들은 최소한 가창면과 다사.하빈면을 타구청에 떼어주는 한이 있더라도 {달성군}이라는 형태로 남길 고집하며 대구시의 결정여하에 따라서는 군민서명운동을 전개할 계획으로 있다.군형태를 고집하는 이유로는 연 1백45억원에 달하는 재산.자동차.농지.도축.담배소비.종합토지.도시계획.사업소세등 9가지의 지방세를 군세입으로 잡아지역개발 사업에 활용 할 수 있는 반면 달성구 형태로 될 경우 재산.종합토지.사업소세등 연38억여원만이 구청세입으로 잡히고 나머지는 시세가 되기때문에 공무원 인건비조차 감당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각종 지역개발사업이 대구시의 굵직한 현안에 밀려나 중단될 우려가 있기때문이다. 특히 앞으로 3백80억원을 투입해야 할 금호강정화사업을 비롯74억원의 다사서재도로 확.포장공사, 20억원의 다사-하빈 송수관로 매설, 29억원의 축산폐수처리장 시설, 16억원의 분뇨처리장 시설, 10억원의 달성공단-구지간 상수도 관로매설공사등에 필요한 예산이 계속 지원될지의 여부가 관심거리이기도 하다.
더욱더 큰 문제점으로는 달성군이 대구시에 편입된 후에 과연 대구시의 개발여지가 남아 있는가하는 것인데 달성군 전체면적의 45%선인 1백94제곱키로미터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어 중간에 가로놓인 그린벨트로 인해 도시개발과 행정효율이 그만큼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구시가 도시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하기위해 개발을 법적으로 제한하고 있는 그린벨트를 뚫고 대도시를 형성하는 극히 보기드문 기형의 도시형태를 나타내게 됐다"는게 행정전문가들의 지적이고 보면 도시권개발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린벨트를 넘어선 현풍과 유가.구지면지역은대구와의 거리가 30-50km이상 떨어져 사실상 대구시내와 연계해 개발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구시편입 이유중에 가장 첫번째로 떠올랐던 교육문제 즉 학구문제도 주민들의 생각대로 잘 풀릴까하는데는 상당한 문제점이 예상되는데 교육청 관계자들은 "대구시 편입이 되더라도 학구는 기존 달성군지역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해 결국 달성군지역 학생들의 경우 기껏해야 월배지역까지로 자율학구가 제한될수 밖에 없을것"이라 밝혀 달성군민들의 제1민원사항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