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때 북으로 피난길에 오른 임금 선조는 임진강가에 이르러 절망에빠진다. 왜군의 추격은 급한데 밤은 깊고 강은 앞을 가로막고 있어 어찌할 바를 몰랐기 때문이다. 이때 류성룡이 이이가 이 상황을 위해 미리 지어놓았다는 언덕위의정자에 불을 질러 주위를 밝힘으로써 이 위기를 넘겼다는 것이다.*우리나라에는길가다 돌무덤이 있으면 그위에 돌을 얹는 관습이 있다. 이는고조선의 왕 부루가길가다 산짐승을 만나거나 혹은 적이 침입해 왔을때 무기로 사용할 수 있게 평소비축해 두는 유비무환의 아이디어 였다고 한다. 두 이야기는 모두 정사는 아니다.*그러나 어떻든 외침이 잦았던 우리로서는 나름대로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는 지혜가 있었던 모양이다. 이는 우리와 입장이 비슷한 스위스같은 나라서도 얼마든지찾아볼 수 있는 일이다. 그런데 국방부는일산신도시 진지화개념이 말썽이 나자그런 계획을 백지화했다며 발뺌만 하고있다. *그렇다면 진정한 문제는 이제부터시작되는 것이다. 군사분계선에서겨우 25km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다 도시를 건설하면서 방어개념을 넣지 않았다면 그야말로 직무유기이기 때문이다. 전쟁에서서울이 갖는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서울시민}을 위해 일산시민이 희생되는 것이아니고 {서울}을 위해일산이 방어에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다. 국가를 먼저 생각하는 국민이 되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