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의 활성화를 위한 조기전당대회실시. 김영삼대통령이 12일 밝힌 구상이다.당직개편을 전당대회후까지 미룬다는 것 외에 다른 이야기는 없었다. 이를두고 당내에 말이 많다.민주계의 선두주자격인 최형우내무장관은 13일 {간접적으로} 김종비민자당대표의 퇴진을 주장했다. 대표제 폐지와 복수의 부총재 경선을 통한 지도체제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당연히 김대표가 경선에 나설수 없을 것을 예상한 발언이라는 분석이다.
당이 활성화되고 중진실세화된다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다. 민주계가 대표는할 수 없는 형편이고 JP를 당의 얼굴로 내세우는 것도 용납이 안되는 {고민}의 산물로 보인다. JP와는 끝까지 갈수 없다는 기본적인 입장에다 경선을 했을때 조직관리를 꾸준히 해온 자신의 다수득표가 가능하다는 판단도 있었을법하다.
하지만 민정, 공화계의 반응은 냉담했다. 김대표실 주변의 이야기는 한마디로 {말도 안되는 소리}라는 것이다. 원색적인 비난의 소리도 있었다. 김대표의 한 측근은 "의원들 인기투표를 해 보라. 최장관이 얼마나 나오겠나"고 빈정댔다. 김길홍대표비서실장은 "단합해도 어려운 시기에 개인적으로 괜한 이야기를 해 평지풍파를 일으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김실장은 김대표의 표정이 하루종일 어두웠다고 했다.
김대표는 이미 경선제 이야기가 터져 나온 12일 오전 민주계 당직자를 불러"이런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하라"고 간접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평소 김대표체제에 난색을 표하던 민정계중진들에게도 최장관의 이날 발언은반감을 샀다. 민정계의 대표주자로 인정받는 김윤환의원은 이날 내무위에 출석한 최장관에게 "당을 완전히 갈라먹자는 얘기냐"고 항의하기도 했다.민주계에서도 김대표체제의 문제점에는 공감을 하면서도 최장관식의 문제제기에는 동조하지 않았다. 강삼재기조실장은 "당분간 지도체제의 변화는 어렵다"고 했다. 문정수사무총장은 "모든 것은 대통령의 의중에 달린 것"이라는태도였다.
의원들사이에서는 "당을 깨자는 것이냐"는 반응도 있었고 "경선제를 하자니대통령제의 특성과 1인자의 속성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는 분석도 나왔다.사태가 심상치 않은 양상을 보이자 최장관은 오전의 발언을 번복했다. 진의가 왜곡됐다는 것이다. 최장관은 김의원에게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는데 언론이 제맘대로 썼다"고 둘러댔다.
내무부기자들에게는 "JP는 당의 대표로 그대로 있을 것"이라고 했다. 오전의발언이 "당의 활성화방안의 일환으로 일반론적 언급을 한 것이 과잉해석돼전달됐다"고 발뺌했다. {공식적}으로는 그런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이날 김대통령도 최장관발언 파문의 진화에 나섰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김대통령이 최장관을 직접 전화로 불러 크게 질책했다는 사실을 알렸다.대통령의 진의가 잘못 전달됐다는 것이다. 김대표측의 강력한 반발이 효과를발휘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대통령의 엄명으로 최장관의 소신이 여과없이 밝혀진 이날 발언파문은 일단잠복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불씨가 꺼진 것은 아니다. 언제라도다시 타오를 여지는 그대로 남아있다.
대통령은 김대표거취에 대해 어떤 언급도 하지 않고 있기때문이다. 대통령의최장관에 대한 질책에 대해서도 김대표체제 유지를 직접적으로 이야기하지않았다는 분석이 아직은 지배적이다. 민자당의 진로를 가늠할 수 있는 {방향타}인 김대표의 거취가 갈수록 주목받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