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사회 구성원을 생산하는 막대한 임무를 수행해요. 그런데도 왜 불평등한 대우를 받아야 합니까""남자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를 군대에서 보내야 합니다. 3년이라는시간을 사회적으로 보상해 주는 것을 불평등이라 할 수 없어요"10일 오후 3시 경북대학교 전자계산소 세미나실. '여성과 사회' 계절학기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 남녀불평등문제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강좌이름만 봐서는 여학생이 많을 것 같지만 수강생의 절반 이상이 남학생이다.
여학생을 위한 교양과목으로 인식되어온 대학의 여성학 강좌에 남학생들이몰리고 있다.
경북대의 여성학 교양과목인 '여성과 사회'의 전체 수강인원은 3백60여명.이 가운데 60%가 남학생이다.
수업은 전문적 지식의전달보다는 일상에서 겪는 성불평등 사례를 주제로삼아 토론 중심으로 진행된다.
토론의 주제도 학생들 스스로 정한다. 직장내 성희롱, 혼전순결, 학내커플, 대중매체와 성상품화 등 생활속에서 쉽게 접하는 주제가 대부분.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김규원 교수(사회학)는 "전공 성별 등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학생들을 하나의 토론 그룹으로 구성, 서로의 입장차이를 확인하고 편견을 스스로 바로잡는 과정으로 수업이 진행된다"며 "오히려 남학생들에게 더 유익한 과목"고 설명했다.
복학생인 이영철군(전자공학과 3년)은 "토론을 통해서 여성이 우리사회에서 겪어야 하는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됐다"며 이성에 대한 편견을바로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했다.
남녀학생들의 입장차이때문에 토론이 감정대립으로 흐르기도 하지만 성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되는 것은 여학생도 마찬가지이다."우리사회에 팽배해 있는 그릇된 성이데올로기를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는 심선아양(문헌정보학과 3년)은 "남성에 대해 갖고 있는 편견도 인식할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李鍾均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대구시, '신청사 건립 자문위' 첫 회의…역사성·공공성 등 논의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
한중 정상회담서 원·위안 통화스와프 등 7개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