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는 조합형과 완성형 두가지방식을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조합형은 초 중 종성을 기억시켰다가 필요할 때마다 조합해 하나의 글자를만드는 방식으로 한글의 원리에도 맞을 뿐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글1만1천1백72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 확장조합형은아래아 반치음 등이 들어가는 고어 2만5천7백92자를 추가한 것이다.완성형은 자모 대신 각각 글자를 기억시켰다가 불러내 쓰는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글자가 2천3백50자로 한정된다는 결정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마이크로소프트사가 '윈도95' 한글판에 채택하려 했던 확장완성형은 한글 2천3백50자밖에 표현할 수 없는 기존의 완성형에 한글 9천자를 추가로 만들어 코드를 할당, 표현가능한 한글을 1만1천72자로 늘린 방식.그러나 확장완성형은 그동안 못쓰던 글자들을 추가해 이 약점을 해결한 것이지만 추가한 글자순서에 일정한 규칙이 없고 한글을 자모에 따라 식별하는작업이 거의 불가능하고 한글의 과학성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이종균기자〉


































댓글 많은 뉴스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장동혁 "내년 지방선거 '제2의 건국전쟁'…서울서 성패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