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渭川공단 축소 政府내서 거론

"지역민 거센 반발"

위천 공단 건설과 수질오염과는 영향이 없다는 정부부처 판단에도, 부지 축소론 이 代案으로 거론되는 것은 사실상 경제 정책 논리보다는 낙동강 오염 문제를 놓고 첨예화된 大邱와 釜山-慶南간 갈등을 완화시키기위한 명분 찾기 라는 정치 논리에서 勢를 모으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비난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국무총리실 관계자는 19일 공단을 조성해야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나 부산-경남지역의 수질오염 반발 등을 고려, 부지 규모를 축소하자는 절충안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고말했다.

주무부처인 건설교통부의 고위 관계자도 공단 조성 문제에 대해 대구나 부산 시민 모두를 1백%만족시키지는 못할 것 이라고 언급, 부지 축소가 사실상 유일한 대안임을 시사하고 있다.다른 관계자는 결국에는 낙동강 오염문제로 악화된 지역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명분을 살리는방안이 현실적 대안으로 굳어질 것 이라며 축소안은 관련부처에서 제기하는 경제적 논리 보다는 이같은 명분론에 휩쓸려 있다 고 덧붙였다.

대구시 위천공단 특위 李壽嘉 위원장은 건교부 환경부 등의 고위 관계자조차도 공단이 들어선다고 수질이 더 나빠지는 게 아니며 수질 대책을 고려할 경우 오히려 지금보다 더 나아질 수도있다 는 입장 이라고 전제한뒤 수질 오염 논란이 사실상 끝난 상태에서 축소론을 거론하겠다는발상을 이해할 수없다 고 말했다.

지역출신인 무소속 李海鳳 의원은 축소론의 주요 근거로 1백26만평이 절대농지인 점을 지적하나실제론 대부분 침수지역이어서 농지로서의 활용도가 낮다 고 지적했다.

李 의원은 공단 규모에 걸맞게 유치 업체가 몰리겠느냐는 지적에 대해선 1백여만평 규모인 달성공단도 업체 유치에 15년이나 걸렸다 며 현재 대구 경제 실정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최소한 20년이후의 상황을 고려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